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유
오일
지방
원유
중유
석탄유
굳기름
d라이브러리
"
기름
"(으)로 총 988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사방으로 퍼져 광공해를 일으킨다. 보통 배 한 척이 1년 동안 작업할 때 조명에 들어가는
기름
값이 3000만 원 정도다. 따라서 LED조명으로 바꿀 경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빛의 폭을 조절하기 쉬워 광공해도 최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LED의 경우 바닷 속으로 더 깊이 투과하는 파란계열의 빛을 ... ...
화가는 파란색을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등 끈적끈적한 액체를 넣어 만든 물감. 빨리 마르는 것이 특징이다.*유화 : 색채 안료와
기름
을 섞어 만든 새로운 물감. 느리게 마르는 것이 특징이다. 달콤한 환상의 세계로 풍덩~!마지막으로 20세기의 그림을 보며 글을 마치기로 해요. ‘색채의 마법사’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진 샤갈은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여자 166.7cm라는 조사결과도 보인다. 키가 클수록 돈을 잘 번다는 연구는 키 크기 열풍에
기름
을 끼얹은 격이다. 예로부터 키 큰 사람이 공동체를 보호하는 데 많이 기여해 지도자로 생각하는 경향이 남아 있다는 설명이다.이와 함께 키를 크게 하는 운동도 주목받고 있다. 줄넘기나 농구처럼 ... ...
3. 차이가 만드는 요리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마찰력 덕 명절 때면 부엌은 온통
기름
냄새로 가득하다. 어머니의 몸과 옷에도
기름
냄새가 잔뜩 배어 있다. 명절 음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전을 만들고 계시기 때문이다. 동태전, 호박전, 부추전, 꼬치전 등 어머니의 손길이 지나간 자리에는 색깔도 다양한 전이 하나둘 탄생한다.맛있는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죽의 재료로 이용하거나 푹 고아 깊은 맛을 내기도 한다. 간은 그대로 익혀 먹거나
기름
(간유)을 뽑아 의학용으로 쓰는데, 대구의 간유에는 비타민 A와 D가 많이 들어 있다. 대구 껍질을 이용한 요리도 다양하다. 최초의 한글 요리서 ‘음식디미방’에는 대구 껍질누르미, 대구 껍질채, 대구 껍질강회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않고 국수처럼 기다란 것을 차곡차곡 쌓아놓은 모양이라면 면 사이의 공간이 촘촘해
기름
에 골고루 튀겨지지 않는다. 끓인 물에 담그더라도 빈틈이 없으니 물이 비집고 들어가기 힘들다. 어렵게 면이 익더라도 서로 달라붙기 쉽다. 면이 꼬불꼬불한 덕분에 공간이 생겨 그 사이로 열과 물이 잘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다. 기차를 모두 전철화하는 일이다. 전철은 기관차가 따로 필요 없을 뿐더러 매번
기름
을 넣어줄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현재 무궁화호와 새마을호는 기관차에 있는 디젤엔진의 힘으로 움직인다. 지난해 무궁화호 급에 해당하는 전철 누리로(서울~신창)가 첫선을 보였다. 다만 전철화를 하려면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앞도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이동은 더 위험했다.다행히 땔감으로 쓰는 유칼립투스는
기름
성분이 많아 불 피우기에 좋았다. 들소의 마른 똥도 좋은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여명이 밝으면 바로 떠날 수 있도록 짐을 꾸렸다.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짐을 최소로 줄였다. 노트북과 카메라에서 메모리와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힘에 의해 유리구슬이
기름
방울의 표면으로 이동했다.또 유리구슬이 빼곡하게 달라붙은
기름
방울에 자외선을 쪼여 단단하게 만들자 수천 개의 유리구슬이 달린 구조(겹눈)가 완성됐다. 덕분에 하나의 렌즈일 때보다 빛을 모으는 시야각이 넓으면서도 모은 빛을 한 점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인조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전기의 위력, 특히 에디슨의 백열등이 발하는 밝은 빛에 매료되고 말았다. 밀초나 쇠
기름
으로 켠 희미한 촛불에 익숙하던 그들에게 백열등의 밝은 빛은 개화된 문명의 빛으로 인식됐기 때문이다. 그들은 귀국 후 고종에게 자신들이 받은 강렬한 인상을 전달했다. 전기에 대해 이미 알고 있던 고종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