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미
향미
미각
향기
정취
경험
뉴스
"
맛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석쇠에 구운 고기, ‘발암물질’ 불판의 20배
채널A
l
2013.06.15
고기
맛
은 비할 데가 없을 겁니다. 석쇠와 불판 중 어떤 걸 더 많이 사용하십닐까?
맛
도
맛
이지만 건강하게 굽는 법이 따로 있습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리포트] 노릇노릇 바짝 구워낸 캠핑의
맛
. [인터뷰 : 서정숙/경기 성남시] 꼬치요리랑 바비큐랑 해서 먹을 예정이에요. 아빠가 준비를 했어요. ... ...
고혈압 환자도 맘껏 먹을 있는
맛
있는 저염 김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나트륨 함량을 줄이고도
맛
있는 저염김치가 개발돼 고혈압이나 당뇨환자도 마음껏 즐길 수 있게 됐다. 한국식품연구원 발효기능연구단 ... “전세계적으로 저 나트륨 식단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만큼 국내외 시장에서
맛
있는 저염김치에 대한 관심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최형국의 무예 이야기]조선시대 화약 제조
동아일보
l
2013.05.24
물질이다. 당시에는 흙에서 염초를 얻었다. 이를 취토법(取土法)이라고 불렀다. 흙에도
맛
이 있다. 여러 종류의 흙 가운데 화약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맹맹한 일반 흙이 아닌, 일정한 ‘숙성 과정’을 거친 짠 흙(일명 함토)과 매운 흙(일명 엄토)이었다. 문제는 이런 흙이 아무 곳에나 있는 것이 ... ...
[제주]제주 땅밑에 황금알 낳는 용암해수 샘 솟는다
동아일보
l
2013.05.23
작용도 이뤄지면서 ‘청정 지하수자원’이 됐다.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 배합으로 물
맛
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 지원센터는 제주해안 넙치양어장 등이 쓰는 지하 해수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2005년부터 해안에서 1.7km가량 떨어진 해발 33m 지점에서 용암해수를 뽑아 올려 ... ...
환경오염 줄이고 밥
맛
은 좋은 '최고 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1
밝히고 있다. 김보경 농진청 벼유공재배과장은 “현품은 쌀알이 맑고 투명하며 밥
맛
도 우수한 최고품질의 벼”라며 “도정률도 높고 쭉정이도 잘 발생하지 않아 소비자는 물론 벼 가공업자들에게도 희소식”이라고 말했다 ... ...
컴퓨터로 몸 값 높은 미생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음식에 신
맛
을 더하거나 식품 보존제로 쓰이는 젖산은 화장품이나 제약 등 다양한 분야에 쓰임이 많은 물질이다. 최근에는 시간이 지나면 분해 되는 플라스틱 원료로도 주목받으며 수요가 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미생물의 효소유전자를 조절해 젖산을 10배 더 많이 생산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해 ... ...
이미테이션 피자치즈, 먹어도 괜찮은 걸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않지만
맛
과 향은 비슷하다는 거지.” “뭐야, 그럼 먹어도 안 죽는다는 거잖아요. 난
맛
만 좋으면 그만인데요?” “그래도 치즈 성분이 일절 들어있지 않은 식품에 치즈라는 말을 붙이는 건 문제가 있지. 또 모조치즈를 비싼 자연치즈라고 속여서 파는 식당이 상당히 많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고 ... ...
맛
때문에 나트륨 많은 라면 허용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12
나고 신장질환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크다”며 “핵산, 효모추출물, 해조류 등으로 짠
맛
을 내고 나트륨 함량은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개발 중이기는 하지만 나트륨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고 말했다 ... ...
음식 냄새 기억은 학습의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같은 야식들이 등장하면 그 냄새만 맡아도 입에 침이 고인다. 뇌가 야식들의 냄새와
맛
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몸이 본능적으로 반응한 것이다. 이처럼 냄새를 맡고 음식을 알아차리는 것은 뇌가 음식 냄새를 학습했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KIST 뇌과학연구소 올리버 ... ...
어린이 컵라면 나트륨 함량 기준 ‘역주행’
동아일보
l
2013.05.10
있다. 식약처가 시대를 역행하는 조치를 취했다”며 “나트륨 기준을 완화해 라면의
맛
을 향상시키기보다는 다른 재료나 향신료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반박했다. 허혜연 녹색소비자연대 녹색식품연구소 부장은 “식약처가 제시한 새 기준치는 위험수준에 육박한다. 그런 식품을 정부가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