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자신의 발명품에‘엑셀러장갑’이라는 이름을 붙인
뒤
, 이번 개발품이 기존의 다른 수화번역기에 비해 좀더 다양한 동작을 번역할 수 있다고 말했다.하지만 아무리 정확하게 사용하더라도 복잡한 단어나 구절을 번역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번 장갑이 완벽히 번역할 수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방법은 절대온도 1K(-2백72℃)까지 온도를 낮춘 실험용기에 생체분자를 미세하게 분사한
뒤
레이저를 쏘아 스펙트럼를 얻는 것이다. 그 결과 기존의 스펙트럼보다 해상력이 월등히 뛰어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김 교수는“생체분자와 물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 세밀한 과정이 거의 알려져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 녀석들을 골라내 반으로 나눠 한쪽은 항우울제를 투여하고 나머지는 물만 먹였다.4주
뒤
관찰한 결과 항우울제를 복용한 쥐들은 먹이에 다가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35% 정도 줄었다. 그만큼 활발해진 것이다. 반면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명랑해진 쥐들의 뇌를 조사한 결과 해마에서 새로 생긴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같이 암스테르담에서 활동한 과학자가 있습니다. 레이덴대학에서 의학을 배운
뒤
평생을 현미경연구에 바친 스밤메르담(1637-1680)입니다. 적혈구세포를 처음 관찰했으며, 곤충을 변태 형태와 정도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한 곤충학의 원조입니다.렘브란트와 스밤메르담은 초상화로 연결됩니다. ... ...
고등학생 영어로 물리난제풀이 경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모든 발표와 논쟁의 과정은 영어로 진행되며, 토론이 종료되면 심사위원의 질문이 있은
뒤
심사위원들은 각 팀에 대한 점수를 즉석에서 발표한다. 다만 국제대회의 규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조직위원회의 유권해석에 의해 그 대회의 경기 규칙을 사전에 공지한다.올해 참가팀은 모두 최선을 다해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발견되는 밝은 색의 후추나방보다는 더 많이 살아남을 것입니다. 즉 오랜 세월이 흐른
뒤
에는 개체군 내 형질들의 분포가 처음에 비해 크게 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어떤 시점에서는 새로운 종도 탄생될 수 있겠죠.이것이 바로 다윈이 제시했던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핵심입니다. ... ...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우주에 푹 빠졌다.그리고 하늘이 자신을 부르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고 한다. 그
뒤
주저하지 않고 대학 입학 때 1번으로 천문학과를 선택했고 지금까지 천문학자의 길을 가고 있다. 천문학자의 꿈을 이룬 것이다.이 교수는 천문학을 업으로 삼으려는 학생들에게 여름방학 때 시골에 가서 밤하늘의 ... ...
피아노 치면 기억력 쑥쑥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기억해냈다. 반면 이미지를 떠올리는 시각적 기억력에는 차이가 없었다.연구팀은 1년
뒤
학교를 찾아가 다시 기억력테스트를 했다. 45명 중 33명은 계속 연주를 해왔지만 9명은 중도에서 포기했다. 또 17명의 학생이 오케스트라에 새로 합류했다. 계속 연주를 해온 33명과 신참 학생의 단어 기억력을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다리로 노를 젓듯이 앞으로 나아가면서 생긴 것”이라며 “잔물결은 노를 젓는 배
뒤
쪽으로 불가피하게 생겨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살아가는 소금쟁이의 걷는 방법이 물고기와 새의 움직임과 같은 원리라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물고기가 수영하고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거름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지난 6월부터 정선 폐광지에 부숙토를 섞은
뒤
박달나무 묘목을 심어 실제 환경정화 효과를 실험하고 있다. 흉물스런 폐광지가 박달나무숲으로 바뀔 날도 멀지 않은 듯하다.임업연구소같은 공공기관이나 대학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 ...
이전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