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영상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매트릭스에서처럼 가상세계로 들어가려고 머리
뒤
쪽에 있는 전극에 광케이블을 연결해 가상현실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도 가능해질 것이다.2030년 경에는 뇌의 모든 기능이 완전히 규명되고 뇌공학기술이 더욱 발전해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의 질이 극대화될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독을 가진 전갈을 풀어놓았다. 그때부터 전갈은 오리온을 죽이기 위해 오리온의
뒤
를 쫓아다녔다. 그 전갈이 바로 여름철 밤하늘에 떠오르는 전갈자리다. 전갈의 독을 무서워한 오리온은 전갈을 피해다녀야만 했다고 한다. 밤하늘에서도 신기하게 오리온은 전갈이 서쪽하늘로 진 다음에야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엔진에서 압축기(팬)만을 통해
뒤
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유량과 연소기 및 터빈을 통해
뒤
쪽으로 배출되는 공기유량의 비율폐색혈관(閉塞血管)의 혈행재건(血行再建) 수술의 한 방법 즉 동맥이나 정맥에 심한 협착(狹窄)이나 폐색성 병변(病變)이 있을 때 그 부위의 중추측과 말초측(末梢側)에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굴절력이 10세 때보다 약 3배, 45세가 되면 약 4배 낮아진다고 한다. 물체의 상이 망막
뒤
에 맺혀 가까운 곳이 잘 안보이는 원시인 경우는 수정체의 굴절력이 약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상 시력인 사람보다 빨리 노안이 나타난다. 반면 물체의 상이 망막 앞에 맺혀 먼 곳이 잘 안보이는 근시인 사람은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다는 것이다.터널 안에서 화재와 맞닥뜨리면 제일 안전한 곳은 터널의 제트팬
뒤
쪽으로, 바람을 일으켜 연기가 넘어오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반대로 제트팬의 바람이 진행되는 방향에 있으면 가장 위험하다. 김 박사 연구팀이 터널 화재 실물 실험 및 모의 실험을 한 결과 국내 터널에 설치된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고혈압, 당뇨 등의 경우가 그러했다. 예를 들어 폐암의 경우 ‘CYP1A1’ 유전자만 조사한
뒤
폐암 발병 여부를 예측하는 식이다.김 교수는 “이같은 발상은 매우 위험하다”며 “검사 대상 질병의 대부분이 다양한 유전자와 개인마다 특수한 환경, 생활 습관 등이 함께 어우러져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의자에 앉아 깊은 잠에 빠져 있었다. 그렇다면 정말로 감옥에 있던 아르센 뤼팽이 탈옥한
뒤
이 성에 잠입해서 그림들을 훔쳐갔다는 말인가.1백년 전 고안된 지문확인법이 사건의 첫번째 의문은 감옥에 있는 아르센 뤼팽이 이 사건에 실제로 개입한 것인지, 아니면 제3의 인물이 뤼팽을 사칭해 저지른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전기적 · 광학적 성질을 설명한 것으로, 물성의 미시적 이론으로서는 최초의 것이다
뒤
의 식에서 정지전하에 대한 정자기장(靜磁氣場)은 힘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운동전하에는 힘을 미치지만 힘의 방향은 v와 B에 수직이므로, 정자기장은 운동하는 하전입자에 대해 일을 하지 않고 운동의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동시에 상영된다. 아무리 듣기 싫은 소리가 아닐지라도 각 관에서 나오는 소리가 서로
뒤
섞인다면 곤란하다. 멀티플렉스의 경우 관과 관 사이가 멀수록 방음효과가 크다. 하지만 영화관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그 자리만큼 객석을 놓을 수 없으므로 영화관 입장에서는 손해다. 영화관의 벽은 6-7중으로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그러나 일반적인 세포 배양으로 진피 섬유아세포의 수를 늘려 진피 지지체에 접종한
뒤
, 면역결핍 쥐에 이식하면 많은 세포가 생체내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대부분 괴사한다. 이렇게 생존율이 낮은 원인은 세포배양을 시키는 조건이 마치 온실에 화초를 키우는 것과 같은 최상의 조건이기 ... ...
이전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