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음식
"(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
을 먹은 사람은 소금을 넣지 않았는데도 짭짤한 맛을 느끼게 된다. - 과학동아 2010년 9월호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중자극의 인지 과정자극이란 에너지로서 빛에너지, 소리에너지,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람들은 종합검진을 통해 몸에 병이 있는지 수시로 관찰한다. 평소에도 몸에 좋은
음식
을 먹거나 운동을 꾸준히 해 건강을 지키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해 평소부터 노력하고, 전문의를 찾아가 정기적으로 관찰하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정신과를 드나들면 미친 사람으로 보는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함께 사용해 그들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
을 요구하기도 한다. 보노보들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
은 무엇일까? 바로 피자다!이 이야기를 읽고 나서 당신의 느낌은 어떠한가? 다양한 동물실험을 행하고, 재미를 위해 동물을 사냥하고, 동물을 먹는 것에 대해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러한 행위들이 ... ...
달콤쌉쌀한 첫사랑에 빠진 도형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진짜 맛있어요.”“이 정도 맛이라면 경성에서도 먹히겠어!”문제를 해결하고 맛있는
음식
을 대접받은 허풍과 도형.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표정을 짓는다.“혹시 오벨리스크는 둘러 봤니?”주방장의 딸인 미네가 로마제국의 황제가 이집트에서 오벨리스크를 가지고 왔다고 알려 준다.“이집트라면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
을 먹은 사람은 소금을 넣지 않았는데도 짭짤한 맛을 느끼게 된다.KFRI-LHe은 현재 가루 형태로 개발됐다. 눈으로 보기에는 조미료처럼 연한 갈색을 띄는 가루처럼 보인다. 앞으로 5년 이내에 상용화할 ... ...
에너지 ‘1등급’ 오랑우탄의 말 못할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또 안정시대사량(RMR)을 측정하고 소변을 채집했다. 실험 결과 오랑우탄은 몸에 비해
음식
을 적게 섭취할 뿐 아니라 에너지를 적게 썼다. 연구진은 오랑우탄이 포유류 중 가장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였으며, 기근에도 살아남기 위해 이런 체질을 갖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런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신이 내린 축복이자 선물이라 생각하고 일생을 이 강과 함께한다. 강물로 몸을 씻고
음식
을 만들고 목을 축인다. 이생에서의 삶이 다할 즈음이면 강물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사람들이 강의 원류를 신성시하는 이유는 바로 ‘눈의 왕’의 딸이 지상에 내려와 강이 됐기 때문이다. 사두라 불리는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과거 우동과 라면은 젓가락으로 집으면 뚝 끊어지거나 씹는 맛이 푸석푸석했다. 요즘은 상황이 달라졌다. 젓가락에서 미끄러질 만큼 탱탱함을 자랑한다. 부드럽고 텁텁했던 도넛은 찹쌀떡처럼 쫄깃쫄깃한 구슬 8개가 이어진 팔찌로 태어났다. 지름이 1.5cm나 되는 두꺼운 빨대로 음료(버블 티)와 함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잔뜩 살고 있다. 세균이 가장 많이 증식하는 곳은 뱃속이다. 장에 기생하고 있는 세균은
음식
물 소화와 찌꺼기 배설을 돕는다. 대변의 50~60%는 순수한 세균으로만 이뤄져 있다. 우리의면역계, 모든 세포 하나하나까지도 세균이 들어 있다. 우리 몸속에 있는 세균을 모두 합치면 유전자가 약 200만 개 ... ...
바이오 광학을 빛으로 엮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맛을 섞어 새로운 맛을 만든 것이 비법이었다.융합은 비단
음식
에서만 이뤄지지 않는다. 여러 갈래로 나뉘어 발전하던 학문들도 경계를 허물고 서로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바야흐로 융합의 시대다. 2년 전부터 국내대학에 생긴 자율전공학부도 그 선상에 있다. 학과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