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동해 축적돼 쉽게 정전기를 발생시킨다. 하지만 강유전체에 높은 양극성을 부여한 뒤 피부와 마찰하면 피부에 쌓여있는 양전하를 줄일 수 있어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doi: 10.1002/adma.201502463압전 재료 중에서 현재 이 교수가 관심갖는 분야는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 등 생체 압전 재료다. 우리 ... ...
- [특집] 기네스 북에서 찾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십, 백, 천, 만, 억, 조, 경,…, 구골, 구골플렉스! 구골은 10을 100번 곱한 값(10100)으로, 1 뒤에 0이 100개 붙는 수예요. 구골만 해도 우주의 모든 원자의 수보다 큰 수랍니다. 구골플렉스는 10을 구골 번 곱한 수인데, 이 수를 적는 것은 불가능해요. 구골이라는 단위는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캐스너가 ... ...
- [에디스 퍼즐 마법학교] 진실의 책, 베루스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열려고 했는데 문에서 갑자기 빛이 나오는 거야. 당황해서 문에서 손을 떼고 한 발짝 뒤로 물러났지. 긴장해서 꼭 쥐고 있던 손을 펼쳤는데 손 위로 신기한 문양이 떠올랐어. 문득 이 모양과 똑같은 모양이 붙은 문을 열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지. 문양을 돌려볼까? 퍼즐 | 손 위에서 빛나는 문양과 ... ...
- [수학뉴스] 어려운 의견 모으기, 수학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의견을 가진 그룹끼리 분류했습니다. 그리고 각 그룹의 의견 차이를 거리로 나타낸 뒤 그 거리를 최소화하는 함수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나온 결과를 다시 분류하고 거리의 최솟값을 구하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연구팀은 코로나19로 문을 닫아야 했던 중국 우한 수산시장의 상인 20명에게 ...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사이의 거리는 같습니다. 따라서 ‘왕’을 나타내는 벡터에 ‘남성’ 벡터를 더한 뒤 ‘여성’ 벡터를 빼면 ‘여왕’이라는 결과를 내놓습니다. 이런 식으로 기계학습 알고리듬은 벡터로 학습한 정보를 연산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답니다 ...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9월 24일자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토마토 뿌리에 생장을 촉진하는 유익균을 뿌린 뒤 유익균을 뿌리지 않은 바로 옆의 토마토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토마토 뿌리에 서식하는 미생물 종류가 유익균을 뿌린 토마토와 비슷하게 바뀌었고, 면역력과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원오브젝트에서 특정 위치까지의 거리를 변수에 저장해요. 이렇게 거리를 측정한 뒤에는 나눗셈으로 각 비율값을 구했어요. 비율값은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만 나타나도록 블록을 쌓았답니다(②). ● 미션 얼굴 속 비율을 구하는 다른 방법은 없을까?왼쪽 눈, 오른쪽 눈, 윗입술, 아랫입술, 코, 왼쪽 ... ...
- [신 기후체제]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상관없이 온도가 15~20℃로 일정하다. 풀무원기술원은 지하 470m에서 지하수를 끌어올린 뒤 지열 히트 펌프 5개를 가동해 겨울철 난방에 활용하고 있다. 현재 건물 전체 난방에 사용되는 전력의 45%를 지열 에너지로 대체하고 있다. ‘에너지 자린고비’ 연구소를 찾다 여름 냉방은 빙축열을 이용한다. ... ...
- 44년 만에 열린 달 광산... 재개장하는 이유는 화성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1월 발사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약 1달 뒤인 지난해 12월 17일 지구에 무사히 귀환했다. 달의 ‘폭풍의 바다’ 지역 화산지대인 몽스 륑케르(붉은 점) 에서 채취한 달 지표 시료(월석)를 품은 채다. 1976년 옛 소련의 루나 24호 이후 44년간 중단됐던 월석 채취에 중국이 나선 배경을 두고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교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제조기술, 소재기술, 기계설계 등의 키워드를 우선 선정한 뒤 그에 맞는 과목들을 선정했다”며 “최신의 정보통신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만큼 13명의 교수 중 대부분을 신임급 교수로 채용했다”고 밝혔다.스마트제조융합전공은 산업통산자원부와 경상남도, 창원시가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