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곡식
곡류
곡식류
나락
시리얼
잡곡
낟알
d라이브러리
"
곡물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생활에 활용되는 캐나다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경우 중요 데이터를 입력하면 매니토버주 잡초구제가이드에 기초하여 어느 특정의
곡물
농토에 생기는 8종의 잡초에 대하여 그 가장 적절한 구제방법을 프로그램이 추천해준다.정보홍수속에서 사는 도시주민과는 달리 자연의 악조건속에서 사는 사람들은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정보를 ... ...
중금속 오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여겨졌다. 이것은 1980년 카드뮴 폭로와 비타민 D의 결핍에 의한 것으로 판명됐다. 기타
곡물
이나 조개 등에도 카드뮴이 있으나 문제가 될 정도의 양은 아니다. 담배에도 카드뮴이 있어 흡연자에게는 비흡연자보다 많이 축적된다.호흡기나 입을 통해 흡수된 카드뮴은 주로 간과 신장에 축적되어 ... ...
잘게 부수기의 비밀 분체공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전부터
곡물
을 재배해 왔다. 그들은 이
곡물
들을 어떻게 해서 먹었을까. 쌀과 같이 연한
곡물
은 단순히 익히거나 밥을 지음으로써 효과적으로 영양성분을 섭취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보리의 경우에는 달랐다.고민고민하던 옛 사람들은 마침내 비결을 알아냈다. 보리를 잘게 부수어 표면적을 늘리고,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때문에 현재도 강바닥이 보인다. 아마도 이 강안에 선착장이 있었을 것이고, 각 지역에서
곡물
을 싣고 와서 제분한 후 다시 각 지방으로 분산시켰던 것으로 보인다.이 하라파유적은 1921년에 영국의 고고학자 버트, 월러 등에 의해 발굴된 후 모헨조다로 도시유적과 함께 하루 아침에 유명해진 ... ...
열대 우림·동물보호의 어려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파는 것이 가장 큰 수입원이었는데 동물사냥이 제한되자 수입도 적고 운반하기에 곤란한
곡물
을 내다 팔 수밖에 없게 되었다. 전문가들은 환경보호도 사회 경제적인 여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게 되었다 ... ...
온실효과에 따른 장기대책 마련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마련하고 있다.미국은 주정부가 중심이 돼 덥고 건조한 기후에 보다 적합한 나무나
곡물
의 선택, 해수면 상승에 의한 토지잠식, 더운 날씨에 따른 전력수요의 증가에 대해 연구하고 대책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너도밤나무가 약 1백년 후에는 현재의 자생지에서 거의 사라지고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수 있는지를 미리 산출,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게 한다.나아가 자국뿐만 아니고 적국의
곡물
작황을 알아내 그 나라의 식량사정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F1.4가 F0.03으로아무튼 야간감시장비의 원리를 이용한 제품이 이제는 일반에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카메라와 연결한 야간촬영기도 그 한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결과다. 여러가지 종을 교배하여 그중에서 우수한 것을 남겨가는 방법으로 세계
곡물
시장을 좌우할 수 있는 종자를 만들어 냈던 것이다.이렇게 바이오테크널러지의 발전으로 각종의 품종개량이 진전되고 농업생산의 획일화로 효율좋게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품종만 재배하게 되자 재래품종이 점점 ... ...
발암성 농약 수출품에 마구사용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두었다가 시장가격을 보면서 출하할 때에 이런 맹독약품을 쓴다는 것이다.이 조사단은
곡물
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미국에서는 쌀이나 밀을 장기저장하기 위하여 수확 후에 유기인계통의 '마라톤'이라는 살충제를 쓰고 있었다.마라톤은 유전자에 상처를 내어 암을 발생시키거나 자손에 이상이 ... ...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데워주고 온갖 생물들을 키우고 있다. 실제로 인류는 옛부터 빨래를 말리거나 야채나
곡물
을 키우는데 태양열을 이용하였다.이처럼 풍부하고 유용한 태양열을 동력으로 이용할 수는 없을까? 이를 처음 구상하고 실현시킨 사람은 미국의 '존 에릭슨'이었다. 그는 1875년 태양열로 데우는 보일러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