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교수에게 물어봤습니다. AI, 감히 나를 평가해? ☞ 바로가기 (104p) 한 달 뒤면 과학동아에 입사한 지 만 1년이 되는 이영애 기자가 다시 취준생의 마음가짐으로 입사 면접을 봤습니다. 요즘 웬만한 기업에서는 다들 한다는 인공지능(AI) 면접이 궁금했다는군요. 기계가 사람을 평가하는 기술적인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성숙도 등)이 등급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과거에는 마블링으로 예비 등급을 정한 뒤, 육색과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 등에서 결격 항목이 있으면 등급을 낮췄지만, 이제부터는 다른 항목들도 개별적으로 평가해 그중 최하위 등급을 고기의 최종 등급으로 정한다. 마블링이 아무리 좋아도 다른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볼 수 있는 인간을 위협하는 인공지능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 됩니다. 컴퓨터가 된 뒤에는 인간성이 사라지는 듯한 모습도 보여주죠. 분명히 사람이었는데, 컴퓨터에 업로드되면 인간성도 변하는 것일까요?반대로 ‘프로스트와 베타’의 프로스트는 논리를 넘어선 인간의 감정을 느끼기 위해 ... ...
- [매스미디어]룰도, 심판도 없다...스토브리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야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타율, 출루율, 수비력 등의 지표를 측정한 뒤 지표 사이의 인과 관계를 찾아 팀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그래서 필요한 지표를 골라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게 중요하다. 원칙과 소신에 따라 팀을 바꾸는 백승수가 임동규를 방출하려고 결정한 ... ...
- 거의 다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시러큐스 함수로 바꿔서 생각했습니다. 시러큐스 함수란 어떤 수에 3을 곱하고 1을 더한 뒤 그 수를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홀수를 구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Syr(7)은 7×3+1=22이고 22를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홀수는 11이므로 Syr(7)=11입니다. 타오가 시러큐스 함수를 콜라츠 추측 대신 사용한 이유는 ... ...
- [수학체험실]수학과 예술의 만남!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또 도형을 거울에 비춘 듯 반사시키고 평행이동하는 ‘미끄럼 반사’ 대칭을 한 뒤 테셀레이션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미술 작품으로 이끈 대표적인 작가가 20세기 초에 활동한 네덜란드 출신의 판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입니다. 이런 다양한 테셀레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여러 ... ...
- [한페이지 뉴스] 모래+박테리아=살아있는 콘크리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결정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네코코커스를 증식시킨 블록은 30일이 지난 뒤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한 강도(약 3.5MPa)를 보였다. 블록에 주입한 시네코코커스는 적정한 환경에서 배양액만 교체해주면 다시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박테리아가 증식할 수 있는 환경 조건에서는 ... ...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good one. All prepared well enough to suit any foreigner).”충남 공주 충청감사가 제공한 아침을 먹은 뒤 포크는 이렇게 기록했다. 조선의 식문화를 접한 서양인들이 남긴 기록에는 ‘냄새 난다’ ‘맛이 좋지 않다’는 표현이 많다. 그런데 포크는 오히려 한식이 외국인의 입맛에 잘 맞고, 심지어 맛있다고 .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구성된다. 제어부에는 회전날개 앞쪽에 있는 피치 제어 장치를 포함한 허브시스템과 그 뒤쪽으로 회전속도를 높이는 증속기, 에너지 변환 장치인 발전기, 베어링, 주축 등을 포함한 발전시스템이 있다. 참고로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가 3개뿐인 이유는 바람이 초속 12m로 분다고 가정할 때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중이다(10월 말에서 이듬해 2월 중순까지가 남극의 여름이다. 그는 인터뷰를 마치고 3주 뒤 남극으로 향했다). SPT는 전 세계 망원경을 연결해 지구 크기의 가상 망원경을 만들어 블랙홀을 포착하려는 국제 협력 프로젝트인 ‘사건지평선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에 참여하고 있다. 김 박사는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