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알루미늄보다 가볍게! 금 물성 내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균일하게 섞은 혼합액에 염을 분사해 겔 형태로 만들었다. 이후 물을 에탄올로 대체한 뒤 압력 챔버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에어로겔처럼 다공성 구조를 가진 금 18캐럿(3.6g)을 만들었다. 새롭게 만든 금은 열전도성 등 금의 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밀도는 0.7~1.7g/cm3로 일반 금(16g/cm3)의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3. 공기 정화 식물로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할 수 있나? NO # 며칠 뒤 친구들과 얘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식물은 기본적으로 이산화탄소(CO2)를 흡수해 산소를 내뿜잖아요? 그런데 일부 식물은 단순히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유해한 기체까지 없앨 수 있다는 얘기가 나왔어요. 이게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대사성 질환이나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G-CSF의 작용제 항체를 분리한 뒤 기능을 조사한 결과 골수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작용제 이용한 항암제 개발이 목표”예 교수가 어려워도 작용제 항체를 연구하는 이유가 뭘까. 그는 “작용제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주로 ‘지하투과레이더 탐사법(GPR)’을 사용합니다. GPR은 땅속에 전자기파를 쏜 뒤, 물체에 반사돼 오는 신호를 이용하는데요, 반사의 세기, 반사 시간과 위치를 이용하면 어디에 얼마나 큰 물체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대 2m 깊이에 있는 지름 10cm 크기 작은 돌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것을 찾도록 하는 거예요. 천문학자들은 시민들이 표시한 천체가 왜소은하인지 검증한 뒤 맞는 것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거죠. 여러분이 과학자들의 눈 역할을 하는 거예요! #도전!_김우현_은하_찾기!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은데 어려울 것 같다고요? 노노~! 그렇지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고생해준 덕분”이라고 말했다. 최 단장은 “천리안 2B호 발사를 마무리짓고 나면 7년 뒤인 2027년에 육지에서 100km 떨어진 지역에서도 LTE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다시 달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 ...
- 사람 힘으론 절~대 못 떼어내는 접착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충격과 부식에도 강한 장점이 있지요. 연구팀은 2개의 플라스틱 조각을 접착제로 고정한 뒤 분리하는 시연을 했지만,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떼어내기 불가능해 보였어요. 빅토리아대학교 제레미 울프 교수는 “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직물을 더 잘 결합할 수 있게 되었고, 극한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탐험을 진행한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부스 세션’이 이어졌어요. 행사장 뒤편에 청소년들이 지난 반년 동안 만들어낸 탐험의 결과물인 포스터, 사진, 동영상이 전시됐지요.김신혜 학생(서울 언주중)과 곽수진 학생(서울 한성여중)은 과학과 언어, 음악을 융합한 사례를 소개했어요.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국까지 오게 된 여정을 살펴보자. 펭수는 남극에서 비행기를 타고 스위스에 도착한 뒤 스위스에서 한국까지 헤엄쳐왔다고 말한다. 스위스는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인 만큼 일단 남극부터 우리나라까지 헤엄쳐왔다는 가정하에 펭수가 얼마나 고생했을지 계산해 보자. 펭귄은 종에 따라 수영 속도가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5명이 사이배슬론 출전권을 얻기 위해 KAIST 등 전국에서 훈련 중이다. 대학을 졸업한 뒤 17년째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는 공 교수는 “앞으로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구분되지 않는 세상을 위해 로봇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의 꿈은 크다. 웨어러블 로봇을 신체에 완벽히 숨겨 장애가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