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중이다(10월 말에서 이듬해 2월 중순까지가 남극의 여름이다. 그는 인터뷰를 마치고 3주 뒤 남극으로 향했다). SPT는 전 세계 망원경을 연결해 지구 크기의 가상 망원경을 만들어 블랙홀을 포착하려는 국제 협력 프로젝트인 ‘사건지평선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에 참여하고 있다. 김 박사는 ...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산화제와 케로신(등유)을 공급하는 추진제공급라인 자동체결장치가 모습을 드러내고, 뒤이어 28m 길이의 발사체 기립장치(이렉터)가 발사대에 우뚝 기립하던 순간, 연구진 모두가 환호성을 질렀다. 그런가 하면 발사대에 고압가스설비 설치를 앞두고 가슴을 쓸어내린 사건도 있었다. 400기압의 ... ...
-
- [포토뉴스]스파게티면이 꼬불꼬불해지는 과정 수학으로 밝히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스파게티면이 끓으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관찰, 기록한 뒤 스파게티면의 변화를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15초 단위로 찍어둔 스파게티면의 변화 과정을 수학 모형의 예측 결과와 비교하자 서로 일치했습니다. 이 수학 모형을 이용해 눈으로만 알 수 있던 변화를 ... ...
-
- [수학뉴스] 초등학생 수학 실력 높이려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5개 학급은 일반 교육과정을, 나머지 5개 학급은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학습시킨 뒤 시험을 쳐서 결과를 비교했습니다.그 결과 일반 교육과정으로 교육받은 학생 중 29.8%가 복잡한 문제를 해결했지만, 새로운 교육과정의 경우 50.5%가 복잡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연구팀은 학생들이 직관보다는 산술 ...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주로 ‘지하투과레이더 탐사법(GPR)’을 사용합니다. GPR은 땅속에 전자기파를 쏜 뒤, 물체에 반사돼 오는 신호를 이용하는데요, 반사의 세기, 반사 시간과 위치를 이용하면 어디에 얼마나 큰 물체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대 2m 깊이에 있는 지름 10cm 크기 작은 돌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 ...
-
- [매스미디어]룰도, 심판도 없다...스토브리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야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타율, 출루율, 수비력 등의 지표를 측정한 뒤 지표 사이의 인과 관계를 찾아 팀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그래서 필요한 지표를 골라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게 중요하다. 원칙과 소신에 따라 팀을 바꾸는 백승수가 임동규를 방출하려고 결정한 ... ...
-
- 거의 다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시러큐스 함수로 바꿔서 생각했습니다. 시러큐스 함수란 어떤 수에 3을 곱하고 1을 더한 뒤 그 수를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홀수를 구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Syr(7)은 7×3+1=22이고 22를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홀수는 11이므로 Syr(7)=11입니다. 타오가 시러큐스 함수를 콜라츠 추측 대신 사용한 이유는 ... ...
-
- [수학체험실]수학과 예술의 만남! 정다각형 테셀레이션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또 도형을 거울에 비춘 듯 반사시키고 평행이동하는 ‘미끄럼 반사’ 대칭을 한 뒤 테셀레이션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미술 작품으로 이끈 대표적인 작가가 20세기 초에 활동한 네덜란드 출신의 판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입니다. 이런 다양한 테셀레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여러 ... ...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발표했어요. 알래스카 배로우 지역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자료 42년치를 수집한 뒤, 토양이나 식물에서 흡수하거나 내뿜는 탄소량 자료만을 추출해 분석한 것이었지요. 그 결과, 연구팀은 영구동토층의 탄소 저장 시간이 지난 42년 사이 13.4% 줄어들었단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정수종 교수는 ... ...
-
- 얼음이 녹으며 별별 일이 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이 미라를 처음 발견했어요. 강변의 영구동토가 녹으며 미라가 노출된 것이었지요. 그 뒤 연구팀은 이 미라의 갈비뼈를 분석해 1만 8000년 전에 살았던 생후 2개월 정도 된 어린 생물이라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영구동토가 녹으며 이처럼 형태가 그대로 보존된 미라를 발견하는 빈도도 잦아졌어요. 20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