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로버·초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영상이에요. 초음파 영상은 1 ~ 30MHz의 진동수를 갖는 초음파를 인체 안으로 투과시킨 뒤, 장기나 태아 등 내부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신호를 영상으로 만든 것이랍니다.또, 안경을 세척할 때도 사용돼요. 물속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음파의 진동으로 많은 거품이 발생해 그 결과, 물체 표면에 붙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집어넣는다. 고무줄을 연필 아래로 넘겨 자에 걸친다.➍ 다시 고무줄을 연필을 넘어 자 뒤로 한번 넘겨서 걸친다.➎ 양면테이프로 자에 병뚜껑을 붙이면 완성! 찰흙 공을 만들어 병뚜껑에 올려 쏘아보자. ☞결과 : 자를 당겼다 떼면 찰흙이 날아간다.손에 고무줄을 걸고 잡아당겼다 놓으면 어떻게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참여한다. 우리는 그들에게 장비나 장소를 제공한다. 예술가들은 CMS에서 영감을 얻은 뒤 이를 작품으로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들이 사는 지역으로 돌아가 전시회를 열거나 교육을 통해 대중에게 CMS와 과학을 전파한다. 이는 우리의 모토인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Thinking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년 동안 휴직해야 했고, 탑승과 백업 우주인인 최종 2인에 선발되면 우주 임무를 마친 뒤 우주산업연구원에서 의무적으로 2년을 더 복무해야 했다. 우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치열한 선발 경쟁을 통과해야 함은 물론,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이와 같은 사회관계의 실타래도 깔끔히 풀어내야 했다. 또 ... ...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모두 합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전자파 대역별로 발생하는 자속 밀도를 구한 뒤 이를 합산해 최종적으로 자기장을 계산한다. 최 연구사는 “요즘에는 여러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자동으로 합산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고 있어 한 번에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걷는 것처럼 뒤꿈치부터 디뎠다가 빠지면 꺼내기 힘듭니다.”학생들은 윤 책임연구원의 뒤를 따라 총총 걸어갔다. 100m 정도 걷던 윤 책임연구원이 발아래 듬성듬성 나있는 빨간색 식물 하나를 조심스레 들어 올렸다. 윤 책임연구원은 “이게 염생식물 중 하나인 칠면초”라며 “처음에는 ... ...
- [수학뉴스] 수학증명, 인공지능에 맡겨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학습시키고, 수학적 귀납법처럼 수학자가 쓰는 증명 기술 41개도 학습시켰습니다. 그 뒤 입력하지 않은 수학 정리 3,225개를 증명하도록 했죠. 인공지능은 39% 정도인 1,253개의 정리를 정확하게 증명했습니다.연구를 이끈 크리스찬 세게디 연구원은 “사람이 할 수 있는 증명을 전부 할 수 있게 만드는 ... ...
- 상어가족, 지구 반대편에서도 인기 만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있었어요.처음엔 통념에 따라 엄마와 아빠의 캐릭터를 묘사했는데, 이런 평가를 받은 뒤엔 성 역할의 다양성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상어 가족의 하루’에서는 할아버지 상어가 청소를 하고 할머니 상어가 낚시를 하지요. 앞으로도 고정관념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 ...
- 상어가족, 물고기만 먹는 게 아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상어는 종에 따라 새끼를 낳는 태생과 알을 낳는 난생, 태아가 자궁 속 알에서 깨어난 뒤 새끼로 태어나는 난태생으로 번식 방법이 나뉘지요. 백상아리와 비만상어도 난태생에 속해요.이중 비만상어는 태아가 알에서 깨어난 형제를 먹는 것으로 유명해요. 자궁 2개에서 각각 약 50마리의 태아가 ... ...
- 36시간 안에 손상된 폐 고친 뒤 이식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기증 받은 폐 중에서 손상 없이 바로 이식 가능한 폐는 극히 제한적이다. 폐에 손상이 있으면 6~8시간 이내에 세포 재생 등의 방법으로 회복시켜야 한다. 이보다 시간이 더 지나면 기능을 잃어 환자에게 이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고다나 번작-노바코비치 미국 컬럼비아대 생물의공학과 교수팀은 손상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