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스페셜
"
음식
"(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식습관이라는 말도 과학적으로 정확한 표현인 셈이다. 예전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음식
의 영양 정보를 뇌에 알려주는 장의 무의식적 신호 체계의 부실함이 오늘날 과식으로 인한 비만 만연의 배후라는 사실을 알게 됐더라도 이를 개선하는 데 별 도움은 안 될 것이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처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로움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
2024.04.27
아끼고 신뢰하는 관계를 만들어 두는 것이 좋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배고픔이
음식
을 먹는 행동을 유발하듯 사회적 배고픔인 외로움 역시 사회적 관계를 탐색하는 행동을 일으켜야 하지만 외로움이 오래되면 자신감이 떨어지고 사람에 대해 불신을 쌓게 되어 좋은 관계를 만드는 것에서 점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스라이팅'을 극복하는 방법
2024.04.06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고 이야기했다. 일상 생활에서도 예를 들어 이런
음식
, 옷, 음악, 사람 등을 좋아하다니 어딘가 특이하다고 하거나 좀 이상한 것 같다는 표현을 자주 한다고 했다. 연인의 행동으로 인해 속상하고 화가 날 때에도 되려 그런 반응을 보이는 상대가 어딘가 정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구매하고 냉동실에 보관해 곰팡이 노출과 증식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 곰팡이독소는
음식
섭취뿐 아니라 피부접촉이나 호흡을 통해서도 몸으로 들어와 습진과 천식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장마철 집안에 곰팡이가 증식해 퀴퀴한 냄새가 나면 방치하지 말고 없애고 환기를 자주 해줘야 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적다는 점에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했지만 치료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음식
과 물에서도 특이한 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가이듀섹은 포어족의 식인 의식 금지 후 쿠루 발생이 줄어들자 쿠루가 감염성 질환이라는 확신을 가졌다. 그리하여 “암도 유발하는 '바이러스' 유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깨지면 질병의 원인이 되고 가장 먼저 시도할 수 있는 치료법은 식이요법이었다. 즉
음식
을 조절하여 깨진 균형을 바로잡으려 했다. 또한 새로운 약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과 외과적 수술법도 발전시켰다. 신에게 빌지 말고 사람의 힘으로 질병을 고쳐 보겠다는 그의 생각은 후대 의사들에게 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만드는 ‘김치’는 ‘파우차이’(泡菜)와 분명하게 구분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음식
이다. 물론 UN이 매년 발행하는 기념우표의 ‘중국설’(Chinese New Year)은 ‘음력설’(Lunar New Year)로 바꾸는 것이 마땅하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면이 꽤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인류는 식물이 만드는 독을 의도적으로 적당량 더해
음식
의 풍미를 높이거나 소량을 섭취해 병을 고치는 약 또는 기분을 좋게 하는 용도(마약 대부분이 식물 독 또는 이를 살짝 바꾼 분자다)로 쓰고 있다. 책 제목이 ‘가장 감미로운 독’인 이유다. 책에는 흥미로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
2023.11.18
노력을 거쳐야만 비로소 머리 속에 자리잡게 된다는 사실이 한 몫 할 것 같다. 마치
음식
을 먹기 쉽고 맛있는 형태로 떠먹여 줘도 그걸 씹어서 삼키고 소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영양 흡수의 측면에서는 별로 실속 없는 것처럼 말이다. 또 다양한 매체나 열정적인 강사의 존재가 어떤 때는 되려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유지의 핵심, 뇌의 작은 방 '시상하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29
신진대사와
음식
섭취 과정과 관련한 시상하부의 역할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음식
섭취를 통해 얻어진 에너지가 어떻게 배출되고 체중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선 대사조절에 관여하는 시상하부의 메커니즘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개릿 스투버 미국 뉴욕대 교수 연구팀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