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 세계에서 항아리곰팡이 시료 234개를 모아 각각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런 뒤 이를 토대로 항아리곰팡이의 계보를 추적했다. 유전자의 유사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항아리곰팡이는 크게 네 가지 혈통으로 나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가운데 세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퍼져 있었지만,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우주 개발 분야에 여성 과학자가 매우 드문데, 후배 여성 과학자들이 좀 더 수월하게 뒤따라올 수 있도록 디딤돌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_김홍표 “세포 속에 살고 있지만 먼 과거에 세균이었던 미토콘드리아가 혈액으로 나오면 세균이었던 ‘본색’이 드러날까요?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내용도 빠르게 변화한다. 거의 1~2년 주기로 패턴이 달라지는 것 같다. 그래서 앞으로 5년 뒤 어떤 게임이 인기를 끌지 예상하기가 어렵다.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기술의 트렌드를 빨리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또 다양한분야의 지식을 계속 습득하는 일도 중요하다. 실제로 듀랑고를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구조물을 인쇄했다. 구조물마다 구멍(격자)의 크기와 모양, 개수를 각각 다르게 만든 뒤 ‘식감측정장비’를 이용해 객관적인 식감을 평가했다. 식감측정장비는 치아 역할을 하는 ‘인공치아’로 블록이 으깨질 때까지 눌러서 응력과 점성, 탄성력을 측정한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구멍의 ...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때 맛있는 간식을 줍니다. 만약 개가 불안 증상을 보이지 않으면, 소리를 약간 키운 뒤 다시 맛있는 간식을 줍니다. 만약 개가 불안해한다면 이전처럼 소리를 줄입니다. 이런 식으로 개가 불안 증상을 보이지 않는 수준에서 소리를 조금씩 키우고 간식을 제공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위와 같은 ...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백지노트는 서 씨가 EBS를 통해 알게 된 공부법이다. 수업이 끝난 뒤 쉬는 시간과 야간자율학습 시간에 그날 배운 내용을 책을 보지 않고 기억만으로 빈 노트에 써보는 방법이다. 이후 책과 비교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는 것이다. 서 씨는 “이렇게 공부한 내용은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실제 면접에서도 교수님들이 실패한 연구에 대해 물어봤다”며 “대학에서 공부한 뒤에 다시 도전하면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고,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김 씨는 또 “입시를 위한 과정이라는 생각 때문에 작은 실패에도 낙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많이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돌아오면 개가 흥분을 가라앉힐 때까지 기다려 줘야 해요.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른 뒤, 개가 진정하고 얌전해지면 차분하게 이름을 불러주면서 만져 주면 되지요. 장난감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이때 보호자가 외출하고 돌아오면 장난감은 개가 접근하지 못하는 곳에 치워놓는것이 좋지요.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가상 세계에 그치지 않는 데 있다. 방탄소년단은 큰 이야기를 만들어 팬의 몰입도를 높인 뒤 자신들의 실제 감정을 노래한다. 등장인물은 가상의 존재라도 청춘이 느끼는 불안은 진짜 방탄소년단 멤버들도 똑같이 겪을 수 있는 일이며, 동 세대의 많은 이가 공유하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가짜 ... ...
- Part 1. 세상에서 가장 섬뜩한 분해 작업 ‘소인수분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추측은 영원히 미궁으로 남을 듯 했다. 한 세대 후 나타난 반격그런데 약 100년 뒤 1732년, 누군가 무덤 속에서 평온하게 잠자고 있던 페르마를 끄집어낸다. 옆 동네 스위스에서 태어난 레온하르트 오일러다. 오일러는 함수의 기호 f (x)를 처음으로 사용한 수학자로, 본인의 이름을 딴 ‘오일러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