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정규동아리와 자율동아리 어떤 활동 할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과학동아리 2~3개를 생각해뒀다가, 면접 날짜가 겹치지 않는다면 면접을 모두 본 뒤 가장 희망하는 동아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인원 제한으로 원하는 정규동아리에 탈락하더라도 너무 낙담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율동아리를 신청해 스스로 동아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학교별로 차이가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 과정을 ‘전사’라고 한다. 전사를 마친 RNA는 세포질로 나와 리보솜으로 이동한 뒤 자신이 갖고 있는 유전 정보를 가진 단백질을 합성한다. 이렇게 리보솜에서 RNA에 의해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고 한다.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Central Dogma)’라고 불리는 이 가설은 DNA의 ... ...
- [시사과학 뉴스] 스티븐 호킹, 우주의 별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들어 하늘의 별을 보라. 당신의 발만 보지 말고.” 호킹 박사는 루게릭병을 진단 받은 뒤부터 본격적으로 연구에 매진했고, 우주과학 분야에 굵직한 연구들을 연이어 발표했어요. 그 중에서도 호킹 박사는 1966년, ‘빅뱅 이론’을 증명한 졸업 논문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어요. 당시 ‘우주는 늘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발표했답니다. 차세대 외계행성 사냥꾼, TESS 우주망원경NASA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새로운 우주망원경도 준비 중이에요. 바로 올해 4월 16일 이후 발사 예정인 ‘테스(TESS)’지요. 현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를 위해 준비 중이랍니다. TESS가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은 케플러와 ... ...
- 울산과학고등학교가 수학 즐기는 비법! 내고, 모으고, 풀고, 즐기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한 장면으로, 이 사건 이후 주인공의 삶은 완전히 달라진다. 그런데 정확히 20년 뒤인 2018년, 기자는 현실에서 비슷한 장면을 목격했다. 다른 점이 있다면 대학교가 아닌 고등학교였으며, 청소부가 아니라 학생이 주인공이라는 것이었다. 누구나 주인공인 울산과학고“수학 선생님이나 ... ...
- [과학뉴스]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00만 배에 이르는 거대한 크기다. 이 블랙홀이 태양보다 두 배 무거운 별을 끌어당긴 뒤, 산산 조각내는 과정에서 제트를 내뿜는다. 이 현상을 처음 관측한 것은 2005년 스페인령 카나리 제도에 있는 윌리엄 허셜 망원경이었다. 윌리엄 허셜 망원경이 특정 전파를 포착한 이후 미국 전파망원경배열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다. 연구팀은 각 부위별로 동위원소 비를 확보하기 위한 최적의 방식을 확보한 뒤 본격적인 신원 확인을 시작할 계획이다.발굴해야 할 전사자의 규모가 약 13만 명, 이 가운데 연간 1000여 구의 유해를 발굴한다고 할 때 이 추세로는 130년이 걸린다. 게다가 약 1% 수준인 신원 확인 성공률이 그대로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레벨디자이너가 되는 데 큰 도움이 됐다.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대학교를 졸업한 뒤 3차원 사물을 그리는 디자이너로 일하다가, 지금은 레벨디자인에 특화해 일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인기가 많은 FPS 분야에서는 레벨디자인이 무척 중요하다.유저가 어느 공간에 어떻게 서 있느냐에 따라 ...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침투, 스트렙토코커스는 당수송 인산전달계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4년 뒤 충치가 생긴 그룹은 구강 미생물 내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비중이 높았고, 생기지 않은 그룹은 나이세리아 속, 렙토트리키아 속 비중이 높았습니다. 나이세리아는 박테리아가 한 곳에 머물지 않도록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세포를 BrdU에 잠시 노출시키면 세포를 BrdU로 표시하는 게 가능합니다. 표시를 충분히 한 뒤에는 BrdU 주입을 멈춥니다. 그 이후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세포에는 BrdU가 들어가지 않고 세포가 직접 만든 DNA 염기가 들어가게 됩니다. 결국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일수록 BrdU를 빨리 잃고, 느리게 분열하는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