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구술평가로 진행된다. 지난해의 경우 4개 문항이 출제됐으며, 30분 정도의 준비 시간을 준 뒤 학생들이 답을 하도록 했다. 수학과 과학을 기반으로 국어, 인문학, 인성까지 아우르는 융합형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그간 세종과학고는 기출문제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작년부터는 학생들의 준비를 돕기 ... ...
- [이투스교육] 국제 분업과 무역 & 자산 관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극대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잘 만들 수 있는 반도체를 특화해 생산한 뒤 다른 나라에 수출하고, 다른 나라에서 만든 섬유 제품을 수익하는 것이 훨씬 이득이다. 긍정적 영향 생활 범위 넓어지고 경제 활성화그렇다면 무역 확대가 우리 삶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먼저 소비자 선택의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썼는데,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을 알아냈어. 우선 선수의 위치를 점으로 나타낸 뒤 이 점으로 만든 생성 나무★ 중 모든 변의 길이의 합이 가장 작은 것과 두 번째로 작은 것을 포갰지. 축구 경기에서 선수가 가까운 선수에게 패스하는 게 쉽기 때문에 변의 길이가 짧은 생성 나무 둘을 합한 거야.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실마리는 대화 속에 유카와는 물리학자의 길을 걷고, 이시가미는 학교 선생님이 된 뒤로 한동안 왕래가 없었다. 그런데 야스코 사건으로 두 사람이 오랜만에 재회한다. 이시가미는 유카와가 교정에서 처음 봤을 때 처럼 여전히 세상의 모든 이치를 수학적으로 표현했다. 유카와와 대화할 때도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크누스 교수는 이 방법으로 단계별로 제시할 숫자를 알려주는 알고리듬을 만든 뒤 ‘많아야 다섯 번 안에 암호를 맞출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지요. 크누스 교수의 증명은 매우 복잡하므로 알고리듬이 제시한 숫자로 어떻게 암호를 알아내는지만 소개해 볼게요. 우선 여러분이 암호해독자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열리고 있었어요. 한국 역사를 만화가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었답니다. 전시를 감상한 뒤에는 만화 체험관에서 다양한 체험을 했어요. 잠든 만화가의 머릿속에 들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구경할 수도 있고, 만화 배경에 내 사진을 합성할 수도 있었어요. 만화 그리기 체험 공간에서 제가 가장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죽다 살아난 폭탄먼지벌레는 전체의 43%에 해당해요. 또 두꺼비가 폭탄먼지벌레를 삼킨 뒤 뱉기까지는 12~107분이 걸렸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뿡뿡!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Part 1. 가짜 방귀의 자격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국내 안전 기준에 부합한다고 5월 10일 1차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5일 뒤인 5월 15일 2차 조사결과를 발표하며, 대진침대 모델 7종의 피폭선량이 안전 기준의 최대 9배에 이른다며 1차 조사결과를 번복했다. 전 세계 폐암 발병 원인의 14% 차지문제가 되고 있는 라돈(Rn)은 우라늄(U),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당시 우리가 큰 지진이 발생할 거라고 예상했던 것은 아니었다. 지진이 발생한 뒤 미리 설치한 지진계를 통해 관측한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규모 5.4의 포항지진 본진과 6회의 전진이 발생한 위치는 물 주입을 위해 뚫은 두 개의 시추공 위치와 거의 일치하고, 지진의 발생 깊이는 시추공의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3. 경주 방폐장의 ‘사일로’ 시설. 원전 시설 해체 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밀봉한 뒤 저장하는 곳이다. 서 부장은 “문제는 북한이 감속재로 흑연을 사용한다는 점”이라며 “이 같은 방식이 경수로 원자로에 비해 해체가 훨씬 까다롭다”고 설명했다. 핵분열로 튀어나온 중성자는 매우 빠른 ... ...
이전3253263273283293303313323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