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세종과학고 입학홍보부장 박종찬 “새로운 문제 만드는 훈련 해보길”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구술평가로 진행된다. 지난해의 경우 4개 문항이 출제됐으며, 30분 정도의 준비 시간을 준 뒤 학생들이 답을 하도록 했다. 수학과 과학을 기반으로 국어, 인문학, 인성까지 아우르는 융합형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그간 세종과학고는 기출문제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작년부터는 학생들의 준비를 돕기 ... ...
- Part 3. 정신력으로 무장 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보충하는 개미도 계속 많아진 거야. 반대로 먼저 간 개미가 페로몬을 보충하지 않으면 뒤따르는 개미도 페로몬을 보충하지 않았지! 섬터 교수는 비크먼 교수의 실험 결과와 기존의 경기력 곡선을 토대로 새로운 경기력 곡선을 만들었어. 축구도 상황에 따라 선수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경기력이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들고 움직일 때 잘 흘린다면 머그잔 대신 와인잔에 음료을 담아 컵의 윗부분을 잡고 뒤로 걸어가기를 권한다. Hz★진동수의 단위. 초당 반복 운동이 일어난 횟수. 존 리처드 오켄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교수팀은 이 아마추어 과학자의 연구에서 영감을 얻어 액체가 출렁거리는 현상을 수학 모형으로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1만큼 차지한다는 뜻이지요. 팔등신에서 키를 나타내는 8이 기준이었던 것처럼, ‘:’ 뒤에 있는 수가 기준이 되는 양이고 앞에 있는 수가 비교하는 양입니다. 비율은 비교하는 양을 분자, 기준이 되는 양을 분모에 써서 분수(18)로 나타낸 거지요. 키가 커야 팔등신?보통 키 크고, 얼굴도 작은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크누스 교수는 이 방법으로 단계별로 제시할 숫자를 알려주는 알고리듬을 만든 뒤 ‘많아야 다섯 번 안에 암호를 맞출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지요. 크누스 교수의 증명은 매우 복잡하므로 알고리듬이 제시한 숫자로 어떻게 암호를 알아내는지만 소개해 볼게요. 우선 여러분이 암호해독자고 ... ...
- [과학뉴스] 무당벌레까지 느끼는 인공 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문제없이 작동을 했답니다. 이후 제난 바오 교수팀은 인공 피부의 크기를 10배로 늘린 뒤, 직접 손바닥에 붙이고 성능을 시험해 봤어요. 그 결과, 촉감 센서는 울퉁불퉁한 손 위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했고, 손을 구부려도 고장이 나지 않았답니다. 또한 크기가 약 1cm인 무당벌레의 여섯 다리를 각각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양을 제외한 파우더를 제거해요. 그리고 클리어 테이프를 잘라 지문 자국에 붙였다 뗀 뒤, 지문 패드에 붙이면 지문 채취가 완료된답니다. 다양한 지문을 수집해 나만의 지문 컬렉션을 만들어 보세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열리고 있었어요. 한국 역사를 만화가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었답니다. 전시를 감상한 뒤에는 만화 체험관에서 다양한 체험을 했어요. 잠든 만화가의 머릿속에 들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구경할 수도 있고, 만화 배경에 내 사진을 합성할 수도 있었어요. 만화 그리기 체험 공간에서 제가 가장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괄약근을 움직인단 사실을 발견했어요. 괄약근을 이완해 공기를 항문 안으로 빨아들인 뒤, 다시 수축해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며 소리를 냈지요. 연구팀은 이 현상이 뱀의 소화기관인 ‘총배설강’을 통해 일어난다는 뜻에서 ‘총배설강 팝핑’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 과학자들은 소노란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샘플을 채취한다. 여기서 복잡한 DNA추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샘플을 10분간 배양한 뒤 자체적으로 개발한 형질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형을 분류한다. 지금까지 복숭아 향 유전자(FaFAD1), 딸기 세균반점병 저항 유전자(FaRXf1), 딸기 시듦병 저항 유전자(FaRPc2), 딸기 뿌리썩음병 저항 유전자(Cg1,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