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3 지방선거 19일 전인 5월 25일은 후보자등록 신청이 마감되는 날입니다. 그러면 이틀 뒤인 27일부터 투표용지 인쇄를 할 수 있습니다. 후보 단일화가 필요한 정당, 지역구에서는 마음이 급해지죠. 후보 단일화가 인쇄 이후에 이뤄져 사퇴한 후보의 이름이 투표용지에 찍혀 나오면 심각한 오류를 ... ...
- [Issue] 라이징 스타에서 스테디셀러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이 스스로 솟아올라 언덕을 넘을 수 없다지만, 배아 내에서 세포가 자신의 분화 선택을 뒤집을 수 없는 이유는 뭘까요? 여기엔 여러 가지 기작이 작용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후성유전학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DNA 메틸화에 초점을 맞춰 설명해 보겠습니다. 우리 몸의 DNA는 A(아데닌), T(티민),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순식간에 번식하기 때문이다. 미생물은 20분마다 한 번씩 세포분열을 한다. 1시간 뒤에는 미생물 1마리가 8마리(1→2→4→8)가 된다. 하루가 지나면 이 미생물은 4,722,366,482,869,650,000,000개로 늘어난다. 도대체 뭐라고 읽어야 하는지도 헷갈릴 만큼 어마어마하게 많은 수다. 미생물은 어디에나 있다. 눈에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꿈을 갖고 조금씩 미래를 준비해 온 그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간은 수능 시험 일주일 뒤에 치른 구술고사였다. 그는 “다른 친구들은 수능 시험이 끝나서 마냥 즐겁게 놀았지만 한쪽 구석에서 기출문제를 풀면서 마음을 다잡아야 했던 시간이 가장 힘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일주일만 더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저는 수학자가 한 연구도 아니고 해서 이 논문에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며칠 뒤 컴퓨터로 연구를 검증했다는 학자들이 여럿 나타났고, 결과가 참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보통 수학 논문을 검증하는 데 꽤나 긴 시간이 걸립니다. 그런데 이 문제의 경우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 ...
- 기하학 입은 패션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몇 가지 모양의 레고로 큰 성이나 비행기를 조립하는 것처럼, 옷도 기본 단위를 만든 뒤 조합해 다양하게 디자인하는 겁니다. 평면도형인 정사각형 6개와 정삼각형 8개를 조합해 입체도형인 육팔면체를 만드는 것처럼, 평면도형인 기본 단위를 조합해 입체도형인 옷을 만든다고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1만큼 차지한다는 뜻이지요. 팔등신에서 키를 나타내는 8이 기준이었던 것처럼, ‘:’ 뒤에 있는 수가 기준이 되는 양이고 앞에 있는 수가 비교하는 양입니다. 비율은 비교하는 양을 분자, 기준이 되는 양을 분모에 써서 분수(18)로 나타낸 거지요. 키가 커야 팔등신?보통 키 크고, 얼굴도 작은 ... ...
- [영재교육원 탐방 5]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영재들만의 학회를 열어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정보반으로 나눠 캠프를 열고, 실험 보고서를 쓰거나 수학 문제를 푸는 모습을 관찰한 뒤 돋보이는 학생에게 중등부 심화반 최종면접의 기회를 준다. 이런 선발 방식은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상과 관련 있다. 방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영재상으로 두 가지를 꼽았다. 첫째는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괄약근을 움직인단 사실을 발견했어요. 괄약근을 이완해 공기를 항문 안으로 빨아들인 뒤, 다시 수축해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며 소리를 냈지요. 연구팀은 이 현상이 뱀의 소화기관인 ‘총배설강’을 통해 일어난다는 뜻에서 ‘총배설강 팝핑’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 과학자들은 소노란 ... ...
이전3273283293303313323333343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