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삼성전자에서 21년간메모리반도체분야 연구개발에참여했다.상무로퇴직한뒤연구자로서의꿈을펼치기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향했다.현재중국칭화대전자공학과교수및인공지능센터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소자연구를하고있다 ... ...
- [Culture] 여기저기 발톱으로 긁어놓는 고양이 어떡하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레몬즙을 발라서 고양이가 싫어하도록 만듭니다. 그리고 고양이가 스크래처에 적응을 한 뒤에는 원하는 장소로 하루에 1cm 정도씩 옮겨주는 겁니다.이게 끝은 아닙니다. 스크래처를 정기적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새로운 스크래처를 낡은 스크래처 옆에 나란히 뒀다가, 새 것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따라서 이 과정에서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또 발명품을 제작한 뒤에 이 발명품이 왜 필요한지, 어떤 기능이 있는지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이 동반돼야 하므로 의사소통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과학신문대회도 도움이 됩니다. 과학신문대회는 이슈가 ...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나무를 쪼아요. 초속 6~7m의 속도로 1초에 10~20번 부리를 앞뒤로 움직이지요. 날카로운 부리로 구멍을 뚫는데 성공하면 가시가 달린 가늘고 긴 혀를 구멍 속에 넣어 혀끝으로 애벌레를 끌어내서 먹는답니다. 일리: 나무를 쫄 때 머리가 아프진 않니? 딱따구리: 딱따구리가 ... ...
- 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거예요. 사막연구소에서 개발 중인 드론은 GPS를 이용해 정해진 위치까지 스스로 이동한 뒤, 분사 장치로 응결핵을 구름에 뿌릴 수 있답니다. 이 드론은 지상에서 안전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필요한 곳에만 정확하게 응결핵을 뿌릴 수 있지요. 작년 12월엔 인도 뉴델리에 거대한 크기의 물대포가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게임 속 캐릭터로 변신할 차례입니다. 캐릭터가 된다는 건, 가상세계에서 캐릭터를 만든 뒤 HMD와 장갑, 조끼, 총 등에 달린 센서의 위치좌표를 가상세계 속 캐릭터의 머리, 손, 몸통, 총의 위치좌표와 실시간으로 일대일대응시킨다는 뜻이에요. 이런 기술을 ‘모션 트래킹’이라고 불러요. 예를 들면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상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는 두 업적 뒤에 지도 교수가 있어서지요. 만약 이 모든 걸혼자 했다면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지만, 이미 대가로 평가받는 스미르노프 교수와 함께 했다고 하니 필즈상을 받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겁니다. 강남규 고등과학원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엮기, 십자형 묶어 엮기 등 다양하다. 주로 바닥을 먼저 짜고 바닥을 들어 올려 옆면을 짠 뒤, 테두리를 마감하는 세 단계로 이뤄진다. 유닛 만들기 유닛을 이용하는 아이디어는 종이접기로 입체를 만들 때 많이 쓴다. 같은 유닛을 여러 개 만들어 연결하면 쉽고 빠르게 입체를 만들 수 있다. ...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기획하고 러시아와 계약한 정부와, 우주인을 우주로 올려 보낸 정부, 그리고 우주인이 그 뒤에 활동을 하게 될 때의 정부. 똑같은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니면 처음 의도와 달라질 수 있고, 계획한 매뉴얼 그대로 하려고 해도 인수인계 받은 사람은 다른 방향으로 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무원들과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기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통계모델은 1시간 뒤의 단기적 상황, 물리모델은 1~2일 뒤의 중장기적 상황을 예측하는 데 유리하다. KISTI가 두 모델을 통합한 종합 시스템을 구축한 이유다. 조 센터장은 “임진강의 3분의 2는 북한 영토에 있어 태풍과 홍수 피해를 정확히 검증할 수 없다는 한계가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