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품"(으)로 총 1,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중금속, 발암물질이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유입된 것인지 발생 지역도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탄소동위원소 분석은 이미 식품이나 지질 연구에 많이 쓰고 있다. 탄소의 동위원소 비율을 이용해 겉보기에는 똑같은 빵이라도 어느 밀로 만들었는지 알 수 있고, 지층에 묻힌 화석의 나이도 가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석탄과 석유 등 ... ...
-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 수용체와 은 나노선을 활용해 농식품 내 잔류농약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해 재료화학분야 국제학술지 ‘ACS 응용물질 및 계면(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3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개발한 검출 기구는 2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 ...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보툴리눔 균을 이용한 제품이 안전하고 효과가 있는지를 관리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전염병 예방법에 따라 보툴리눔 균에 전염된 가축은 없는지 관리한다. 하지만 이 중 보툴리눔 균주의 발견 경위를 감독하는 부처는 없다. 대다수의 나라들이 보툴리눔 독소를 취급하기 전에 안전점검 등의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오랜만에 늦잠을 자고 일어난 일요일 아침, 고픈 배를 무엇으로 달랠까 고민하며 냉장고를 열어보니 지난주에 사뒀던 우유 한 통이 그대로 남아 있네요. 과일 칸에서는 레몬청을 만들고 남은 레몬 한 개도 찾아냈죠. 그 순간 리코타 치즈가 떠올랐습니다. 만드는 방법이나 화학반응이 비슷한 두 ... ...
- [Culture] 과일잼&미역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설탕을 넣어야 합니다. 체중 감량이나 식이요법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잼은 최악의 식품이지요. 하지만 다이어트 중이거나 당뇨를 겪는 사람들도 맘 편히 즐길 수 있는 잼도 있답니다. 딸기와 사과 같은 과일에 들어 있는 펙틴은 메톡실기(-CH3O)가 50% 이상 차지하는 고메톡실펙틴(high methoxyl pectin ... ...
- [Issue] 다이어트? 굶는 건 절대 안 돼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콜라,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를 비롯해 과일 주스, 이온 음료 등 주변에 너무나 많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첨가당이 가장 많은 음료는 바로 커피였습니다. 믹스커피나 시럽을 넣은 커피, 즉 카페라테나 카라멜 마키아토 등에 엄청나게 많은 당이 들어가 있죠. 100% 무가당 과일 주스는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사이에 ‘이왕이면 건강하게 먹자’는 트렌드가 생겼다”며 “프로바이오틱스는 식품과 접목하기 가장 좋은 분야로, 초콜릿의 형태로 유산균을 섭취하면 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산균이 보호되는 만큼 체내 도달 비율도 높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초콜릿에서 살아남을 유산균부터 찾았다. ... ...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글지글. 전이 노릇노릇 구워지고 있습니다. 집 안 가득 고소한 기름 냄새가 가득 차니 설이 코앞이라는 사실이 실감나네요. 지역마다 명절에 부치는 전 종류는 다양하겠지만 ‘국민 전’으로 불릴만한 것은 아무래도 생선전과 동그랑땡이겠죠. 그래서 이번 호에는 흰 살 생선의 대명사인 대구와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라진 뒤에도 길게는 2~3개월 동안 몸속에 남는다. 권 센터장은 “인삼과 같은 건강기능식품 역시 생리적인 대사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며 선수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대사체는 금지약물 400가지 각각에서 2~3가지씩 나온다. 수백 종의 미량 물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첨단 분석 장비가 필요한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칼리데코는 고장난 염화 이온 채널을 열어주는 약으로, 201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값이 비싼데다가 환자가 약물에 반응한다는 실험적 증거가 반드시 있어야 보험회사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약의 혜택을 받는 환자는 소수에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