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해서 예술 방면에 소질이 있어야 입학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입학한 뒤 예술과 인문적 소양을 다른 과학영재학교보다 더 기를 수 있습니다.” 김 입학부장은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와 다른 과학영재학교와의 차이를 한 마디로 이렇게 설명했다.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의 입학전형은 다른 ... ...
- 교내 과학경시대회 잘 준비하는 법 (신과람 교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달’인 만큼 4월에 집중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학사 일정에 따라 중간고사나 기말고사 뒤에 집중되기도 합니다. ‘은하철도 999’ 복장으로 상대성원리 설명교내 과학경시대회에는 먼저 교과목이 중심이 되는 교과경시대회가 있습니다.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경시대회는 교과 내용을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내용으로 답변을 잘 했다. 생명과학 문항 (면역계와 그 반응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한 뒤)교수 : 그럼 어려운 질문을 하나 해 볼까요? 유전적인 결함으로 가슴샘(흉선) 발달이 억제된 채 태어난 아이에서는 정상아에 비해 병원체 감염 시 이에 대한 항체 생성이 크게 억제됩니다. 그 이유는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막연하게 추측할 뿐이지요. 지수귀문도★ 육각형 9개를 거북의 등껍질 모양으로 연결한 뒤 꼭짓점에 1부터 30까지 수를 배치한 것. 이때 육각형을 이루는 여섯 개 수의 합이 모두 같다. 김 교수에 따르면 새로운 군사 진법에 대해 고민하던 최석정이 ‘양휘산법’에서 마방진을 다룬 것을 보고, 진법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만약 누가 ‘다솔이가 고른 메뉴가 뭐야?’라고 물으면 다솔이와 이어진 메뉴를 확인한 뒤, ‘캐러멜 마키아토’라고 대답하면 될 거예요. 매번 선으로 잇는 게 귀찮았는지, 1734년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함수를 뜻하는 영어 단어 function의 첫 글자인 f 와 괄호 (, )를 이용해 함수를 더 ... ...
- Intro. 패럴림픽의 슈퍼휴먼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3월 9일부터 18일까지 평창 일대에서 열린다. 올림픽을 개최한 지 정확히 한 달 뒤에 같은 장소에서 여는 규칙을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에선 총 36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이며, 북한에서도 2명이 사상 처음으로 출전한다. 올림픽으로 충분히 예습했다면, 이제 패럴림픽을 즐기기 위해 6가지 종목을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잃어버린 질량은 훗날 암흑물질로 불리게 된다. 다시 암흑물질의 증거가 발견된 건 40년 뒤였다. 미국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지구에서 약 250만 광년 떨어진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하면서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케플러의 법칙★에 따르면 은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물질의 회전속도는 가까운 ... ...
- [과학뉴스] 평창 하늘 수놓은 1218대 드론 군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드론 쇼를 총괄한 나탈리 청 인텔 드론 라이트쇼 책임자는 “드론이 차례로 이륙한 뒤, 서로 부딪치지 않게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날 1218대의 드론은 150cm의 간격을 유지하며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다. 드론의 이름은 ‘슈팅스타(Shooting Star)’다. 슈팅스타에는 ... ...
- [과학뉴스] 위장술 갑(甲), 갑오징어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실험 결과, 갑오징어의 외투막과 연결된 운동 신경을 차단한 뒤에도 갑오징어는 피부의 돌기를 바위처럼 바꾸는 위장술을 1시간 이상 유지했다. 시각 신호 입력 없이도 갑오징어가 위장을 유지 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갑오징어의 위장 관련 신경 회로가 오징어의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