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억압과 차별에 맞서는 방파제로서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채택된 이 선언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상세히 진술한 최초의 기록이자 인권과 자유가 모든 사람과 모든 장소에서 적용돼야 한다는 점을 인정한 최초의 선언이다. 오늘날 25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이 ... ...
-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비하인드 스토리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외국인 친구에게 가서 말을 걸기로 했는데, 계속 승재가 걸렸거든요. 저랑 홍녕이는 뒤에서 지켜만 봤답니다. Q. 소문에 듣자하니 시험장에서 종이접기를 한 분이 있다던데…. 김홍녕 : 둘째 날은 시간이 조금 남았어요. 국제대회를 또 언제 나올지 알 수 없잖아요. 이 대회가 처음이자 마지막일 ... ...
- [매스미디어] 도시어부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안내하는데요, 프로그램의 재미를 위해 다 함께 낚기로 한 대상 어종을 정해 놓은 뒤 황금배지를 두고 경쟁합니다. 조기나 광어같이 흔한 것부터 ‘4대 돔’이라 불리는 참돔, 벵에돔, 감성돔, 돌돔도 대상이 됩니다. 요리사도 평생에 한 번 요리하는 게 소원일 정도로 희귀한 다금바리도 대상 ... ...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수업도 있다. 김 원장은 “마을 사람의 지원으로 영재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어른이 된 뒤 사회에 보답을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역사와 철학, 미술을 가르치데만 그치지 않고 수학이나 과학과 융합하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볼 계획도 있다. 김 원장은 기자에게 “사실 수학동아를 2년째 ... ...
-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조미 홍합 요리’와 ‘새우에 토마토를 곁들인 요리’의 재료를 각각의 원으로 나타낸 뒤, 각 재료가 같은 화학 성분을 가지면 선으로 연결해 표현했다. 원의 크기는 그 재료가 얼마나 많은 요리에 등장하는지를 나타낸다. 화학 성분을 많이 공유하는 재료끼리 두꺼운 선으로 연결돼 있다. 이런 ...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한 마디로 말하면 특이점이라 불리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점이 대폭발한 뒤 팽창하면서 우주가 만들어졌다는 이론이에요. 호킹이 대학원에 있던 시절은 우주가 팽창하지않고 항상 밀도가 일정했다는 ‘정상 우주론’과 빅뱅이론이 대립하던 시기예요. 그런데 1965년경, 우주배경복사가 발견되면서 ... ...
-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태양 탐사선 파커를 발사할 예정이거든요. 파커는 16주 동안 우주를 날아 태양에 다가간 뒤, 최초로 태양의 대기에 진입할 거예요. 이후 약 7년간 태양을 공전하면서 태양 표면과 대기의 정보를 조사할 거랍니다. 그렇다면 파커 탐사선은 뜨거운 태양의 열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을까요? 그 비결은 ... ...
- [에디터 노트] 굿바이,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나름의 방식으로 추모하고 싶어 미드 ‘빅뱅 이론(Big Bang Theory)’의 몇 년전 에피소드를 뒤졌다. 2012년 4월 방영된 시즌 5의 21번째 에피소드 ‘The Hawking Excitation’이다. ‘호킹과의 흥분된 만남’ 정도로 번역된다.우주 엔지니어인 주인공 하워드가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를 방문하는 호킹의 휠체어 ... ...
- [과학뉴스] 저지방&저열량 식단이 ‘젊은 뇌’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촉진한다. 연구팀은 두 그룹의 쥐에게 생후 6개월간 각각 고지방과 저지방 먹이를 준 뒤 시상하부에서 미세아교세포가 염증을 얼마나 일으키는지 비교했다. 이후 이들 그룹을 다시 둘로 나눠 18개월 동안 전체 열량을 40%로 줄여 먹이를 주거나 운동을 시켰다. 그 결과 저지방 식이요법과 열량 제한을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두 가지 연구를 진행 중이다. 우선 AI를 활용하는 방식은 사람의 표정을 AI가 학습한 뒤 로봇의 모터를 무작위로 작동시켜서 사람의 표정과 가장 흡사한 표정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이는 에버의 표정 구현에 적용했던 얼굴움직임부호화시스템과는 다른 접근법이다. 현재 에버의 행복한 표정은 AI가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