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기가 마르고 빵도 바짝 구워진다.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반죽을 오븐에 넣었다. 얼마 뒤, 모락모락 고소한 향기가 났다. 오븐에서 갓 꺼낸 고대 이집트 빵은 아주 친근한 모습이었다. 그리스의 피타와 모양이 비슷했다(하지만 피타의 색은 하얗다).빵을 잘라보니 안에 커다란 공간이 있었다. 스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친구들이 바스락거리는 소리에 놀라 뒤를 돌아보니 한 친구가 서 있었어요.“넌 부잣집 외아들 만수르잖아? 여긴 웬일이야?”“나도 비밀과학수사대에 껴 줘. 날 비밀과학수사대에 합류시켜 주면 한 가지 제안할 게 있어. 바로 비밀 훈련이야!”시원이와 오로라, 파부르는 의논 끝에 만수르를 ... ...
- [수학뉴스] 최고의 투수가 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물체를 허리 아래에서 위쪽으로 던지는 언더핸드 스로우, 이보다 낮을 때는 물체를 머리 뒤에서 머리 위를 지나며 휘둘러 던지는 오버핸드 스로우로 던질 때 정확도가 높았어요.또 물체가 목표 지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최저 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던질 때 정확했어요. 앞으로 공을 던지는 연습을 ... ...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한다. 그래서 적군을 무력화하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미리 시뮬레이션해 본 뒤 그에 맞춰 병력을 투입한다.최근에는 가상현실(VR)을 이용해 훈련도 한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VR 시뮬레이션은 항공기 조종으로, 조종사들은 시뮬레이터로 비상 상황 대처 훈련을 받을 수 있다. 또 낙하산 ... ...
- Part 6. 끝나도 끝나지 않은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전쟁을 치르고 나서 경제 상태가 바닥이 되는 게 이상한 일도 아니다.이 때문에 전쟁 뒤에는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인플레이션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며 상품 물가가 오르는 경제 상황인데, 초인플레이션은 화폐 가치가 극도로 떨어져 물가 통제가 불가능한 상태로 수백 ...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흘러나오는 것이라고 ‘빙하학’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빙하에 음파를 쏜 뒤 돌아오는 반향을 분석해 빙하 아래 있는 물의 존재를 발견했다. UAF 크리스티나 카르 연구원(박사과정)은 “빙하 주변에서 안테나를 격자 모양으로 움직여, 마치 박쥐가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보는 것처럼 얼음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 36개를 날개에 달았다. 덕분에 수직이착륙이 가능해 활주로가 필요없다. 날아오른 뒤에는 엔진의 방향을 수평하게 바꿔 비행할 수 있어 같은 배터리를 썼을 때 드론형 플라잉카 보다 10배 멀리 날 수 있다. 또 날개가 크기 때문에 공기의 점성력을 적게 받아서 드론 형태보다 3배나 빠르게 날 수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담아두고 관찰을 시작했다. PE 비닐봉지는 40분 만에 구멍이 나기 시작했고, 12시간 뒤에 무게가 92mg 줄어들었다. 92mg이 아주 적은 것 같지만 그간 밝혀진 플라스틱 생분해 속도에 비하면 획기적인 수준이다.플라스틱 분해 방법 중 가장 빨라2016년 3월 ‘사이언스’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이용한다. 1~8번 마디를 만든 것과 같은 방법으로 오른쪽 표를 이용해 17~24번 마디를 만든 뒤 25~32번 마디는 이를 반복한다. 다음 33~48번 마디는 다시 왼쪽의 표로 작곡한다. 이처럼 확률로 만드는 음악을 ‘우연성 음악’이라 한다. 우연성 음악은 20세기 이후 현대 음악의 한 계통을 이룰 정도로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않고 함께 등장한다. 대중적인 호기심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검고 긴 의자에 몸을 누인 뒤 최면을 걸면, 마치 시간여행을 하듯 전생 또는 미래의 사건을 말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에 대한 견해는 판이하게 갈렸다. 변 회장은 “사람이 살다가 보고 들은 게 나올 수 있고, 꿈을 꾸는 것처럼 무의식에 ... ...
이전389390391392393394395396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