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말했다.최초 연구로부터 20년이 지났다. 2004년 인공자궁을 개발했을 당시에도 10년 뒤에는 인공자궁을 사람 조산아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연구가 미진한 이유는 무엇일까. 송 교수는 “인공자궁 실험 자체가 너무 힘들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실험에 많은 비용이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고분자인 셈이다.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목재 펄프를 물에 농도 2% 정도로 풀어낸 뒤 구멍이 미세한 체에 통과시키면, 잘게 찢겨 나노 섬유가 된다. 산을 쓰는 방법도 있다. 셀룰로오스의 분자 구조는 결정질과 비결정질이 번갈아 손을 잡고 있는데, 이를 황산용액에 넣으면 상대적으로 약한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외에도 3만 명이 승선한 거대한 함대였다. 강력한 무적함대로 먼저 영국의 해군을 제압한 뒤, 네덜란드 지역의 스페인 육군 2만5000명을 영국에 상륙시켜 점령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해군은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파했고, 전 세계의 맹주로 떠올랐다.2차 세계대전 당시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질문을 바꿨다.“넌 어디서 왔지?”유청은 만족스러운 얼굴로 대답했다.“지금부터 720년 뒤의 미래에서. 난 팽창주의자들의 후예가 은하계를 완전히 장악한 미래에서 왔어. 나치와 이스라엘과 일본의 만행을 기록한 역사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미래에서. 암흑물질과 중력자 소용돌이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사잇각이 같은 직선 찾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1이고 나머지 항은 cos x 혹은 -cos x 값을 갖습니다. 여기서 부호를 보고 그래프를 만든 뒤 램지정리(수학동아 2017년 1월호 ‘따끈따끈한 수학’ 참고)를 이용해 답을 구했습니다.이 문제에도 아직 수학자가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당장 14차원에서 답이 무엇인지 아직도 모릅니다. ... ...
- [과학뉴스] 국산 기술로 초미세먼지 구성성분 알아낸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5월 3일 밝혔다.에어로졸 질량분석 시스템은 레이저로 초미세먼지를 맞춰 이온화시킨 뒤, 이온을 질량분석기로 검출하는 장비다. 연구팀은 초미세먼지를 집속하는 기술과 레이저 플라즈마를 만들어 발사하는 기술, 입자 성분을 분석하는 기술 등 장비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를 5년에 걸쳐 개발했다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현상이다. 연구팀은 이를 분석해 외계행성(OGLE-2016-BLG-1195Lb)의 존재를 발견했다. 그런 뒤 NASA의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과 공동 관측해 행성의 질량과 지구로부터의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알아냈다.이번에 발견한 외계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1.43배다. 중심별까지의 거리는 1.16AU(약 1억7000만 km)로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셈이다. 곧 이를 보완한 워너크라이 2.0이 배포됐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알려진 뒤라 전파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 연구원은 “만약 실수로 킬 스위치를 만든 것이라면 정말 아마추어가 뒷걸음 치다 쥐 잡은 격이고, 일부러 넣었다면 진짜 목적에 대해 해석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올린 동물들의 배변 영상 19개도 추가로 수집했죠.똥이 항문으로 고개를 빼꼼히 내민 뒤 땅바닥에 떨어질 때까지를 배변 시간으로 정의했습니다. 다양한 포유류 별 배변 시간을 측정한 결과, 12(±7)초로 배변 시간이 거의 비슷했습니다. 양 연구원은 “이는 놀랍도록 작은 범위”라고 말했습니다.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염도가 1~2도 높아진다”며 “하루에 한 번씩 증발지를 옮겨가며 염도를 조금씩 높인 뒤 결정지에 투입하기 직전에 23~25도가 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소금은 바닷물의 염도가 27도가 됐을 때 결정을 이루기 시작한다.소금을 채취하는 날의 기상 상태도 중요하다. 일교차가 10℃ 이상 ... ...
이전391392393394395396397398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