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직접 주사하거나, 환자의 종양침윤임파구를 분리해 실험실에서 활성화시킨 뒤 다시 환자에게 주사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두 가지 큰 문제가 있었다. 면역체계가 암세포만을 대상으로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신 부작용이 너무 심했다. 임상시험 중에 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떼어낼 때는 절취선을 따라 조심스럽게 눌러야 해요. 손끝으로 절취선을 따라 밀어낸 후, 뒤로 잡아 빼면 더 쉽게 조각을 빼낼 수 있지요. 마음이 조급해 너무 힘을 주면 부품이 부서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답니다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테니, 교육 정책을 강조해서 소개합니다.오바마 캠프는 유권자를 여러 그룹으로 나눈 뒤 각 그룹의 ‘오바마 지지 가능성’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고한석 빅토리랩 대표는 자신의 책 ‘빅데이터 승리의 과학’에서 이 공식이 아래처럼 다양한 변수로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성별과 인종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암호를 제안했습니다. 본래의 음이름인 A부터 G까지 일곱 글자를 가로로 죽 늘어놓은 뒤, 그 아랫줄도 일곱 칸에 맞게 적어나갔습니다. 그 결과 음이름 B에는 알파벳 B, I, P, W가 대응하고, 음이름 D에는 D, K, R, Y가 대응했습니다. 태연의 악보 암호와 완전히 같은 방식입니다.음악가들의 암호 만들기앞서 ... ...
- [과학뉴스]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맥과 유사하게 제작된 인공 환경에서 기존 줄기세포보다 24시간 뒤 31.6배, 48시간 뒤 28.5배 이상 생존율이 높다고 분석했다. 형광 표지물질을 붙인 나노코팅 줄기세포를 쥐의 꼬리 정맥 혈관에 주입한 결과, 더 많은 줄기세포가 표적기관까지 도착한 것도 확인했다.홍 교수는 “나노박막 기술을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방법에 따라 값이 새로 결정돼 버린다. 김 교수는 “잘못된 방식으로 읽었다는 걸 알고 뒤늦게 새로 측정하면 원래의 값은 영영 확인할 수 없고 측정했을 때 결정된 값(새로운 값)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양자암호는 풀려고 시도하는 순간 본래의 값을 알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어떤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내부를 10K~100K(영하 약 260~170℃) 온도의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인공 얼음 시편을 만든 뒤 이산화탄소, 메틸아민 성분을 넣었다. 그리고는 1억 년에 걸쳐 이뤄지는 화학반응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얼음 시편에 자외선을 쪼인 뒤, 시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질량분석기로 정밀하게 분석했다. 그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조직에서 DNA를 추출해, 아시아 코끼리 유전체 안에 넣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약 2년 뒤 매머드와 코끼리의 유전자가 섞인 배아를 만들 어 세상 밖으로 탄생시켰습니다. 그 아들의 딸의 손녀 의 사위…인 매머드 맘송이가 지금 아스트로월드 사파 리에 살고 있지요. + 더 읽을거리존 코가 제안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못하고 소멸됩니다. 도대체 무슨 과정이기에 이토록 중요한 걸까요.자궁에 착상한 뒤 2주 정도가 지난 인간의 배아를 보면, 이것이 어떻게 머리, 팔, 다리를 고루 갖춘 아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두 겹의 세포층을 사이에 두고 주머니 두 개가 붙어 있는 모습이거든요. 위에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1월에 런던으로 복귀해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런데 이 도깨비 같은 사람이 1년 뒤에 불쑥 답장을 보내온 것이다. ‘선택과 공분산’이라는 짧은 논문의 초고를 동봉해서 말이다.프라이스가 공언한 바와 달리, 그것은 해밀턴의 혈연 선택 이론을 새로이 유도하거나 더 발전시키는 논문이 ... ...
이전392393394395396397398399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