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일주일 뒤에 새로운 멤버와 새 문제를 만들어서 연락해~.”비밀과학수사대 4명은 일주일 뒤 새로운 대결을 약속하며 산을 내려갔어요.“하아…, 그나저나 누구를 멤버로 영입하지?”그때였어요. 어두운 숲 사이로 바스락 거리는 소리가 들렸어요.“거기 누구야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비슷하게 땅을 파나간답니다. 머리 부분의 원형 강판이 암반을 갈아내면, 뒤의 몸통 부분이 바위 조각들을 밖으로 빼내고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죠. 이 덕분에 크기나 깊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긴 터널도 뚫어나갈 수 있답니다.★비밀 2 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굴착기 ...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기울도록 춤을 추는 거예요.나머지 벌들은 정찰 벌의 8자춤을 보고 꽃의 위치를 파악한 뒤, 꿀을 채취하러 나선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Part 3. 별별 사랑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김 교수를 찾아갔다.이들은 김 교수와 함께 공 2개로 하는 저글링에 대해 연구했다. 그 뒤 저글링 수학에 관해 더 깊이 연구해 보고 싶어서 외국에서 저글링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교수를 찾아가기로 했다. 저글링 수학을 연구한 교수를 있는대로 찾아 메일을 보냈다. 그러나 은퇴한 교수부터 더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거야!’거기에 생각이 미치자 마음이 급해졌다. 일단 서둘러 학교로 향했다. 어두워진 뒤라 돌아다니는 사람이 없었다. 하림은 평소 땡땡이를 치고 돌아올 때처럼 몰래 기숙사로 들어갔다. 하루 정도 도망쳤다가 돌아온 적은 많으니 문제 될 건 없었다. 다만 마고에게 할 변명은 내일까지 생각해 둬야 ...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실험해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매듭을 지은 신발끈을 충돌하는 진동자에 연결해서 앞뒤로 흔들며 실험한 결과, 걷는 동안 작용하는 두 종류의 힘이 매듭을 풀어지게 만드는 것도 확인했다. 특히 신발끈 끝에 물체를 달아서 무게가 커질수록 풀어지는 빈도가 많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데일리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시금치의 물관이고 표시한 부분은 사람의 심근세포다. 식물세포가 녹아 제거되면서 7일 뒤 반투명한 껍질만 남았다(위 사진❶). 잎의 구조를 지지하는 성분과 물관 등(세포외기질)으로, 주성분은 셀룰로오스다. 이렇게 만든 하얀 이파리의 물관에, 분화시킨 사람의 심근줄기세포를 주입했다. 그러자 ...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죽게 만들 것이라는 파국적인 해석을 하고 결국 지나친 불안과 공포를 갖게 된다. 그 뒤부터 공중화장실을 전혀 사용하지 못한다거나, 외부 화장실을 사용한 날은 집에 와서 몇 번이고 몇 시간이고 목욕을 해야 하는 강박 증상이 나타난다.‘나도 손을 자주 씻는데?’ 또는 ‘나도 외출하기 전에 가스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했어? 안 했다고? 부모 모두가 도망 노비 출신이었어. 심지어 아버지는 해방 후 20년 뒤에 지방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자기네 집에서 일하다 달아난 노비 말은 안 듣겠다고 악에 받쳐 발악하던 양반 쓰레기에게 살해당했지.여긴 반 세기 전만 해도 인구의 절반 정도가 노비인 나라였어. ... ...
- [과학뉴스]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역할만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연구팀은 실험쥐 두뇌의 후두정피질 근처에 전극을 붙인 뒤 미로에 넣고 4일 동안 관찰했다. 후두정피질은 주로 운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그 결과 쥐가 미로를 찾아 헤맬 때 수상돌기는 세포체보다 최대 10배 많은 전류를 생성했다. 심지어 쥐가 잠을 자고 ...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