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바뀔 뿐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은 비슷하다”며 “우리 연구에서는 로봇이 자신을 소개한
뒤
아동의 취미가 무엇이고 어떤 놀이를 좋아하는지 묻는 과정을 통해 아동이 로봇과 친밀한 관계를 쌓도록 했다”고 말했다. 아이는 로봇과 비밀을 공유하고 싶어한다. 그러나…아동이 성인보다 로봇과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뜨면 다 죽는다’는 인식이 있었다는데, 일부러 눈에 띄려고 그런 걸까. 화려한 비행기
뒤
로 자꾸만 핏빛이 비쳤다.‘비행기 대백과사전’은 비행기의 역사 110년을 다룬 책이다. 800여 대의 비행기가 시대별로 정리돼 있다. 시대를 앞서간 첨단 기술이어서일까. 비행기 천재들의 자부심을 보는 재미가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이들은 연어가 대양을 가로지르고, 목숨을 걸고 강을 역류해 집단으로 산란을 한
뒤
바로 죽어버리는 현상을 보면서 번식을 위해 생존을 포기한다고 생각했다.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식을 위한 여정에 사용하고 산란 장소에 도달하면, 그만큼 생존에 필요한 면역기능 등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해져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만든 원은 암컷을 유혹하는 동시에 알을 낳고 부화시키는 둥지였어요.암컷이 떠난
뒤
에도 수컷 복어는 6일 동안 그 자리에 남아 있었습니다. 별다른 행동을 하지는 않으면서요. 원 무늬는 물살에 씻겨나갔고, 새끼들이 부화하자 수컷도 그제야 자리를 떠났습니다. 수컷은 다시 짝짓기를 할 때가 되자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일주일
뒤
에 새로운 멤버와 새 문제를 만들어서 연락해~.”비밀과학수사대 4명은 일주일
뒤
새로운 대결을 약속하며 산을 내려갔어요.“하아…, 그나저나 누구를 멤버로 영입하지?”그때였어요. 어두운 숲 사이로 바스락 거리는 소리가 들렸어요.“거기 누구야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비슷하게 땅을 파나간답니다. 머리 부분의 원형 강판이 암반을 갈아내면,
뒤
의 몸통 부분이 바위 조각들을 밖으로 빼내고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죠. 이 덕분에 크기나 깊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긴 터널도 뚫어나갈 수 있답니다.★비밀 2 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굴착기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기울도록 춤을 추는 거예요.나머지 벌들은 정찰 벌의 8자춤을 보고 꽃의 위치를 파악한
뒤
, 꿀을 채취하러 나선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Part 3. 별별 사랑 ... ...
[매스미디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제멋대로 구는 멤버가 모인 오합지졸에서 은하계 최고의 해결사로 등극한 그들이 돌아왔다. 전작을 뛰어넘는 유쾌함과 끈끈한 우정으로 똘똘 ... 나오는 쿠키 영상★도 놓치지 말자.쿠키 영상★ 영화의 엔딩크레딧이 모두 올라간
뒤
나오는 서비스 영상. 보통 차기작에 관한 힌트가 담겨있다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김 교수를 찾아갔다.이들은 김 교수와 함께 공 2개로 하는 저글링에 대해 연구했다. 그
뒤
저글링 수학에 관해 더 깊이 연구해 보고 싶어서 외국에서 저글링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교수를 찾아가기로 했다. 저글링 수학을 연구한 교수를 있는대로 찾아 메일을 보냈다. 그러나 은퇴한 교수부터 더는 ... ...
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삼아 뛰어놀거나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퍼즐과 바둑책을 보는 게 전부였다. 하지만 3년
뒤
학교에 돌아갔을 때 수학 공부를 따라가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았다. 바둑과 퍼즐로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길렀기 때문이다.특히 바둑의 ‘복기’가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 복기란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