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임무를 마친 뒤, 2006년 9월달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1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알기 어렵지만, 눈이 크고 이빨이 많아 포식자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한 달 뒤인 작년 4월 13일, 또 다른 연구팀이 툴리 괴물이 척추동물이라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영국 레스터대 지질학과 토마스 클레멘츠 박사팀은 툴리 괴물의 눈 부위에서 관찰한 구조를 근거로 들었다 ... ...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정진하다보니 어느새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었다고.마지막으로 정 교수는 “10년 뒤 어느 분야가 유망할지는 알 수 없다”며 “전공을 선택할 때는 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라”고 조언했다. “미래의 일들을 너무 미리 걱정하는 것은 배터리의 자가 방전처럼 에너지를 소진시킬 수 있습니다.”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띠 사이에 갭이 있는것은 아니지만 전하 밀도가 낮은 영역이 있는 물질을 조사했다.그런 뒤에도 많은 물질이 남지만,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물질인 비소화탄탈럼(TaAs)부터 계산하기 시작했다. 약 200개 정도의 화합물을 계산했다.Q 왜 바일 준금속이 중요한가.물리의 근본적인 관점에서 보면, 바일 ... ...
- 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금속이 녹아 있는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곳을 말해요.금속 성분들은 찬 바닷물과 만난 뒤 고체가 되어 지각 틈 주변에 쌓이고, 굴뚝을 만들게 되지요. 이 굴뚝이 바로 해저열수광상이에요. 해저열수광상은 여러 가지 금속 물질을 품고 있는 귀중한 광물 자원이랍니다.▽해저 광구의 주요 광물 3가지●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러던 중 미국 RG의 유전자 진단으로 ‘근육긴장이상 16’이라고 진단받았어요. 그 뒤 의료진은 파킨슨병에 쓰는 약물을 처방해서 로버트가 더 편히 움직일 수 있도록 돕고 있답니다.이처럼 RG의 활동은 병명을 알지 못해 제대로 치료받지 못했던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어요. 베네수엘라에 사는 ... ...
- [과학뉴스] 헤어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 파면 결정이 내려진 3월 10일,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머리에 붙은 ‘헤어롤’ 떼는 것을 잊은 ... 놓습니다. 환원제(1제)로 케라틴 단백질의 결합을 깨트리고, (원하는 모양대로 구부린 뒤) 산화제(2제)를 사용해 새로운 단백질 결합을 만들어냅니다 ... ...
- [과학뉴스] 두뇌의 능력,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역할만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연구팀은 실험쥐 두뇌의 후두정피질 근처에 전극을 붙인 뒤 미로에 넣고 4일 동안 관찰했다. 후두정피질은 주로 운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그 결과 쥐가 미로를 찾아 헤맬 때 수상돌기는 세포체보다 최대 10배 많은 전류를 생성했다. 심지어 쥐가 잠을 자고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제주도의 것은 이배체인 반면 포항의 효모는 단배체였다. 강 교수는 “유전자를 분석한 뒤 매우 놀랐다”며 “이배체인 제주도 효모로 만들어진 술이 포항의 것보다 조금 더 향이 풍부했다”고 말했다. 미생물 ‘배합’이 전통누룩 성공 결정식품연에서 기자가 본 누룩에는 여러 특성테스트를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필요하다. 어린아이들의 활력(물리학에서는 운동에너지라고 부른다)을 모두 제거해 버린 뒤, 춤추는 좀비처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클리칭의 실험에서는 강한 자기장이 압력을 주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런 강압적 방법(물리학에서는 강한 상호작용이라고 부른다) 대신 대칭성과 ... ...
이전398399400401402403404405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