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기록해야 한다.기록하는 순서를 대략 소개하면 암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의 지면을 정리한
뒤
직사각형 모양으로 발굴 범위를 구획한다(왼쪽 사진➊). 이 직사각형을 ‘그리드(grid)’라고 한다. 이제 그리드를 발굴하기 시작하는데, 주의할 점이 있다. 그리드 내 지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게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전자 기판에 ‘짝’하고 부딪히면 점프 높이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나왔다. 교실
뒤
에서 쟀으면 누가 더 높이 뛰었는지 으레 설전이 벌어졌겠지만, 바로 숫자로 볼 수 있으니 한 번에 서열 정리가 이뤄졌다. 42cm가 나온 친구는 단연 ‘점프왕’으로 추대됐다. 박재형 군은 “원래 스포츠 과학에 ... ...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잡은 건 다름아닌 족적. 경찰은 범행 당시 절도범이 무심코 신었던 슬리퍼를 확인한
뒤
, 미용실 인근에서 슬리퍼의 족적을 찾아냈습니다. 경찰의 엄청난 집념으로 절도범은 잡혔지만, 만약 그가 슬리퍼를 신고 있지 않았다면 잡히지 않았을까요.버려진 휴지도 다시 보자유성호 서울대 법의학교실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이 센터장은 “질병과 관련한 단백질 네트워크 모델을 만든
뒤
이를 분석하면 어떤 단백질이 핵심 역할을 하는지 해석할 수 있다”며 “그 단백질을 추천하면 연구자들이 실험해서 질병과의 관계를 검증한다”고 말했다.질병 유형과 원인 밝히는 정밀의료 ... ...
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➌ 관을 따라 이동한 바닷물은 육지에 있는 펌프로 들어간다.➍ 바닷물은 펌프를 통과한
뒤
다시 바다로 돌아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2. 연안의 쓰레기를 치워라!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충격을 흡수하는 충전재가 탄생했어요. 이렇게 만들어진 버섯 충전재는 택배에 사용된
뒤
텃밭에 버려도 30~90일 만에 분해되기 때문에 쓰레기가 만들어질 걱정이 없답니다.바다에 이렇게나 많은 쓰레기가 있었다니…. 그래도 세계 곳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깨끗하게 되돌리기 위한 노력을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사례 발표도 있었어요. 교육 스태프는 지난 해 활발한 탐사 활동으로 우수팀에 선정된
뒤
, 올해 교육 스태프 팀에 지원한 16개 팀들을 말해요. 교육 스태프 팀들은 현장교육에서 다른 대원들의 탐사 활동도 도와 주고,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다른 대원들의 궁금증을 풀어 주는 역할을 할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오히려 거꾸로 작게 보인답니다. 볼록렌즈를 통과한 빛은 한점으로 모이는 초점을 지난
뒤
, 다시 퍼지게 돼요. 이 지점에 우리가 보는 상이 맺히기 때문에 거꾸로 된 작은 상을 보게 된답니다.볼록렌즈를 사용해 멀리 있는 것을 크게 보여주는 굴절망원경에는 물체에서 나온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 ...
PART 1. 파랑은 없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옷은 아주라이트로 칠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자유의 색이 되다종교개혁이 일어난
뒤
에는 화가들이 성화에도 파란색을 두드러지게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성모마리아를 나타내는 옷 색깔이 파랑이었다. 흔하지 않은 색깔인데다 오묘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기 때문이었다. 결국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들리는지 정확히 알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왼쪽에서 나는 소리는 왼쪽 귀에 먼저 닿은
뒤
오른쪽 귀에 닿지요. 또한 오른쪽 귀보다 왼쪽 귀에서 조금 더 크게 들려요. 이런 미묘한 차이를 이용해 소리가 나는 방향을 알 수 있답니다.그런데 프랑스의 곤충학자인 장 앙리 파브르가 쓴 ...
이전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