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새 들어오지 않도록 일종의 막을 씌우는 작업이다. 막장에 속이 빈 철근 수십 개를 꽂은 뒤, 그 철근을 통해 강한 압력으로(25~45 bar) 시멘트를 ‘뿌린다’. 뿌려진 시멘트는 암석 사이사이로 흘러가 굳어 그라우팅 층을 만든다.막장 안쪽의 지반을 뚫는 건 거대한 중장비, ‘점보 드릴’이다. 마치 영화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고, 강이나 조류의 흐름을 바꿔 여러 환경문제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절단 뒤 인양이 어려운 상황이 아니라면 절단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부산 영도대교의 해체 장면(지금은 확장시켜 준공됨).건물의 해체와는 다르게 정확히 절단돼 있는 다리의 단면이 눈에 띈다. 서울의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살인을 저지른 강서연은 저항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진 서윤형에게 소량의 독극물을 먹인 뒤 쿠션으로 살해했습니다. 윤지훈이 찾은 섬유 조각은 이 쿠션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한 증거물이었던 겁니다. 쿠션의 섬유가 붙어있다는 이유 하나로 범인이라고 확정할 수 있냐고요? 아주 예리한 ...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조립한 학생들은 본체에 마우스와 모니터, 키보드 등 각자의 입출력 장치를 연결한 뒤 어렵지 않게 컴퓨터를 작동시켰다. 본체 한 대에모니터 세 대를 연결해 각자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습이 제법 슈퍼컴퓨터다웠다.슈퍼컴퓨터에 ‘접속’캠프에 참가한 학생 가운데 슈퍼컴퓨터를 직접 다뤄 본 ... ...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더 많은 연료를 소모하는데, 스마트 자동차를 활용해 트럭 사이 간격을 1m까지 줄인 뒤 고속주행을 하면 연료를 10% 가량 아낄 수 있다. 손 펠로우는 “신호등이 없는 사거리를 스마트 자동차들이 빠르고 안전하게 주행하게 하는게 꿈”이라고 말한다.스마트 홈은 활용 범위가 보다 다양하다. 우리가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기자는 뒤통수를 맞는 듯한 경험을 했다. 다른 취재차 만난 한 과학사회학자가 기사를 본 뒤 이렇게 말했기 때문이다. “사지 달린 인간만이 정상인 건 아닌데요?” 그가 취한 과학철학적 관점에 따르면, 과학은 지금껏 정상적인 인간의 몸을 ‘서구 백인 남성’을 기준으로 했다. 백인이 아니거나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정서가 조성돼 성공적인 수학 교육의 통합을 이뤄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통일 뒤 또 하나의 문제는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생긴 편견이다. 북한 출신 학생을 많이 접한 전형국 교사는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한국 학생들과 여명학교 학생들이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있었어요.그때 한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모양도 황금…, 웩…, 또 시작이 돼…, 웩….”“그, 그만 말씀하셔도 돼요! 음, 열 달 뒤에 이곳에 총 몇 마리의 토끼가 있는지 구하란 말이지? 피보나치 수열에 따르면…, 아하. 알겠다 ...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소설가들을 조심해야 한다. 그들이 하는 어떤 말은 나중에 사실이 되기도 하니까.10여 년 뒤. 사람들은 유산균으로 대표되는 장내미생물의 기능에 집착하고 있다. 장내미생물은 과학 뉴스의 단골 소재가 됐다. 뉴스 속 장내미생물은 못하는 게 없다. 비만도 치료하고 우울증도 고치며 면역에까지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맛의 정체는 향!초콜릿 맛 성분이란 없다. 그런 맛을 느끼게 하는 향이 있을 뿐이다. 입 뒤에 있는 통로를 통해 코로 냄새물질이 들어가 느끼는 향이 수만 가지 맛의 실체다. 미국 컬럼비아대 린다 벅과 리처드 엑셀 교수는 냄새분자와 코 안에 있는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짝이 ... ...
이전4394404414424434444454464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