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소설가들을 조심해야 한다. 그들이 하는 어떤 말은 나중에 사실이 되기도 하니까.10여 년 뒤. 사람들은 유산균으로 대표되는 장내미생물의 기능에 집착하고 있다. 장내미생물은 과학 뉴스의 단골 소재가 됐다. 뉴스 속 장내미생물은 못하는 게 없다. 비만도 치료하고 우울증도 고치며 면역에까지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마는 약간 비스듬하지만, 여성의 이마는 거의 일자 형태에 가깝다. 이런 사실을 배운 뒤 필자는 한동안 지나가는 사람들의 이마만 쳐다보고 있곤 했다. 최근에는 머리뼈의 여러 특징들에 점수를 매겨 머리뼈가 남성(혹은 여성)일 확률을 계산하는 공식을 자주 사용한다.일상적인 활동에 영향 받지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제거했다. 쥐의 경우, 이 유전자를 제거하면 손가락과 손목이 생기지 않는다. 그 뒤 제브라피시가 성체가 될 때까지 키우며 지느러미를 관찰했다.실험 결과, 유전자가 제거된 제브라피시에서는 지느러미 가시가 제대로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손목뼈 말단에서 지느러미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있기 때문에 사전 지반 조사를 철저히 한다. 수면에서 시추를 해 지질 샘플을 채취한 뒤 지질 상태를 분석하기도 하고, 소규모 발파로 인공 지진을 일으켜 지진파로 암반의 경도와 단층의 유무를 조사할 수도 있다. 이 과정만 수 년이 걸리기도 한다. 나틈 공법은 시멘트를 이용해 방수 층을 만들면서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너무 많이 찍으면 환자에게 해가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적절한 간격으로 촬영한 뒤 사진들을 보정하고 종합해야 한다. 더구나 치아 임플란트나 인공 관절을 쓴 경우는 사진을 수학적으로 변환해 처리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게 현재 의료 영상 분야에서 큰 화두다.김상연 마지막으로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살인을 저지른 강서연은 저항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진 서윤형에게 소량의 독극물을 먹인 뒤 쿠션으로 살해했습니다. 윤지훈이 찾은 섬유 조각은 이 쿠션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한 증거물이었던 겁니다. 쿠션의 섬유가 붙어있다는 이유 하나로 범인이라고 확정할 수 있냐고요? 아주 예리한 ...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눈길을 끌었다. 김형섭 학생(경기 야탑초 5)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물건을 사고 난 뒤 문자로 영수증을 받을 수 있도록 물어보게 한 ‘영수증을 줄입시다’로 최우수상을 받았다. 심사를 맡은 이철현 경인교대 교수는 심사평에서 “환경 분야 주제를 잘 구현한 적절한 작품이었다”고 평가했다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신호를 흉내 내서 만든다.가상현실은 1930년대에 군사 훈련 시뮬레이션으로 처음 등장한 뒤로 게임과 같은 오락뿐 아니라 교육이나 의료 실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뇌를 속이는 가상현실 치료법가상현실을 말할 때 의료계도 빼놓을 수 없다. 정신의학과에서는 거식증 환자에게 가상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0°, 45°, 60°, 90°의 삼각비는 바로 말할 수 있어야 하고, 20°의 삼각비는 교과서 맨 뒤쪽의 삼각비표를 보고 읽을 수 있어야 통과한다는 규칙을 꼭 지킬 것!거꾸로 땅따먹기 각 모둠은 특정 범위 내에서 2~3문제를 내고 문제마다 상·중·하로 난이도를 매긴다. 난이도 상 문제를 내면 15cm×15cm의 땅을,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맛의 정체는 향!초콜릿 맛 성분이란 없다. 그런 맛을 느끼게 하는 향이 있을 뿐이다. 입 뒤에 있는 통로를 통해 코로 냄새물질이 들어가 느끼는 향이 수만 가지 맛의 실체다. 미국 컬럼비아대 린다 벅과 리처드 엑셀 교수는 냄새분자와 코 안에 있는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짝이 ... ...
이전43743843944044144244344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