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오목으로 익히는 순서쌍과 좌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이 수업은 그저 학생들이 이해한 정도를 확인하려고 만든 활동이었는데 수업을 마친 뒤 학생들의 반응이 놀라웠다. 대결하는 중에 ‘좌표축 위의 점은 적지 말아 달라’고 같은 팀 친구에게 이야기하는 학생이 있었다.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니 (a, 0)과 (0, a)가 유독 헷갈린다고 했다. 이 학생은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준비했고 수상자들의 서명을 받기 위한 작업을 진행했다. 이 모든 작업을 완벽하게 마친 뒤, 6월 30일 공식적으로 GMO 반대를 비판하는 운동을 알렸다.컬 내가 서명을 하게 된 이유는 간단하다. GMO를 반대하는 이유가 비과학적이고, GMO 전체를 ‘나쁜 것’이라고 규정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지고 살아간다. 이것들은 면역 및 신경계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태어난 뒤 2~3년 동안 면역과 신경계를 발달시키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장내미생물이 아토피나 천식과 같은 자가 면역 질환, 자폐나 우울증 같은 정신적인 질환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하지만 자연은 에너지가 낮고 안정한 상태로 가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결정격자가 뒤틀리면서 전자와 포논이 짝짓기를 하게 된다. 이 경우 에너지가 급격히 낮아지면서안정화된다. 이 현상을 발견한 독일의 물리학자 루돌프 파이얼스의 이름을 따 ‘파이얼스 왜곡 현상’이라고 부른다. 최근에는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제거했다. 쥐의 경우, 이 유전자를 제거하면 손가락과 손목이 생기지 않는다. 그 뒤 제브라피시가 성체가 될 때까지 키우며 지느러미를 관찰했다.실험 결과, 유전자가 제거된 제브라피시에서는 지느러미 가시가 제대로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손목뼈 말단에서 지느러미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들었다. 나무 거푸집은 아치에 키스톤(아치 구조의 정가운데에 끼우는 돌)이 들어간 뒤에 제거된다.아치의 구조도 유사하다. 브뤼헐의 바벨탑에서 섬세하게 조각된 외벽의 아치는 그대로 건물의 중심부까지 이어져 마치 복도처럼 되는데, 이런 구조를 ‘궁륭(vault)’이라고 부른다. 뿐만 아니라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심리학자 에드 디너 교수 연구팀이 실시한 행복도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130개국 중 뒤에서 15번째로 행복한 나라였다. 한국 사람들이 불행하다고 느낀 이유 중 하나는 ‘경제적 문제’였다. 하지만 알다시피 한국이 경제적으로 115번째로 밀릴 만큼 빈곤한 나라가 아니다. 연구자들은 한국 사회가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용해 온 예측모형은 ‘통행기반의 4단계 모형’이다. 각 지역의 통행량을 계산한 뒤 그 통행이 어떤 길, 어떤 수단을 이용해 이뤄지는지 추적해 현재 교통상황을 파악하고, 여기에 예상교통량을 고려해 교통계획을 짠다. 과거 고도성장기에는 잘 맞는 모델이었다. 자동차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살인을 저지른 강서연은 저항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진 서윤형에게 소량의 독극물을 먹인 뒤 쿠션으로 살해했습니다. 윤지훈이 찾은 섬유 조각은 이 쿠션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한 증거물이었던 겁니다. 쿠션의 섬유가 붙어있다는 이유 하나로 범인이라고 확정할 수 있냐고요? 아주 예리한 ...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눈길을 끌었다. 김형섭 학생(경기 야탑초 5)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물건을 사고 난 뒤 문자로 영수증을 받을 수 있도록 물어보게 한 ‘영수증을 줄입시다’로 최우수상을 받았다. 심사를 맡은 이철현 경인교대 교수는 심사평에서 “환경 분야 주제를 잘 구현한 적절한 작품이었다”고 평가했다 ... ...
이전4384394404414424434444454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