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받아야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필레는 사흘 만에 휴면 상태에 들어갔고, 7개월 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서 잠시 신호를 보내왔다. 하지만 이후 교신이 끊어져 지금까지 위치조차 파악할 수 없었다.ESA는 임무 종료를 앞둔 로제타호를 혜성 표면에 약 2.7km까지 접근시켜 촬영한 결과 필레를 찾아낼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충전 중에 폭발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6일 뒤 두 번째, 세 번째 폭발 사고가 이어졌고, 현재(9월 21일 기준)까지 국내외 서비스 센터에 접수된 사고만 100건이 넘는다. 이전에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배터리 발화 문제는 있었지만, 이렇게 같은 제품에서 여러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목표를 수정했다고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며 “모든 것은 연구비 지원 기간이 끝난 뒤 연구자가 이룬 과학적인 성과를 가지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그랜트를 조금 받긴 했지만, 중성미자 진동변환을 발견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었습니다. 정부에서 슈퍼카미오칸데를 중요한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개쯤 있다. 절반은 지구가 태어나기 최소 15억 년 전에 태어났고, 3분의 1은 지구가 태어난 뒤 만들어졌다.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전체로는 대략 14조 개의 골디락스 행성이 있다(위 왼쪽 그래프). 절반은 지구가 태어나기 최소 50억 년 전에 태어났고, 약 8분의 1은 지구 탄생 이후에 만들어졌다.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년 넘게 이름 없이 묻혀 있던 한국전쟁 전사자의 쇄골과 척추 뼈를 생전의 형태로 배치한 뒤 엑스선을 찍어 생전의 엑스선과 비교했다. 그 결과 흉부 엑스선, 특히 쇄골의 형태를 비교하면 다른 검사 없이도 곧바로 신원 확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당시 이 뼈들은 1950년대에 약품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나누는 것처럼 보인다. 9 음악을 맛있게 요리하는 노래하는 냄비 스틸팬뜨겁게 달군 뒤 고추기름을 붓고 청경채와 숙주나물, 쇠고기를 쓱쓱 볶아내기 위해 준비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커다란 철냄비의 정체는 악기다. 그렇다면 드럼처럼 둥둥 소리를 내는 악기일까.아마 지금까지 소개한 것들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저장한다. 단기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는 것도 수면 중에 일어난다. 잠을 자는 동안 뒤죽박죽 엉켜 있는 기억들을 정리하는 셈이다. 또한 낮 동안 온몸에 쌓였던 피로와 스트레스가 사라지고, 몸과 마음이 재충전되는 시간도 바로 이때다.전문가들은 날마다 쌓인 피로를 풀고, 일이나 공부에 ...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쓸모없는 프라이머가 다수 포함돼 있다. 연구자가 하나하나 직접 적합성을 테스트한 뒤 가장 적합한 프라이머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전문성 × 신뢰]MRprimerW는 DGIST가 개최한 융합세미나(현재 명칭 Monday Lunch Seminar)와 연구비 지원이 있었기에 탄생할수 있었다. 두 교수는 성공적인 융합 ...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술을 이용해 아이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화면을 보고있는지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4년 뒤 실험에 참가했던 아이 중 53명을 대상으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그 결과 첫 실험에서 화면을 오랫동안 봤던 아이가 수학 문제를 풀 때 더 강한 자신감을 보였습니다.로렌코 박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고등학교 교사가 한 가지 제안을 올렸고, 이어 테렌스 타오가 의견을 이야기했다. 그 뒤로 한 달 동안 27명이 수시로 의견을 나누며 문제를 풀었고, 37일 만에 문제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을 해결했다. 첫 번째 프로젝트가 대성공을 거둔 것이다.이후 가워스와 타오가 주축이 되서 폴리매스 ... ...
이전4334344354364374384394404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