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번 사연, 여러분도 공감하시지요? 중고 거래를 할 때는 늘 걱정이 앞섭니다. 튼튼하다고 해서 믿고 산 물건이 사실은 상태가 별로일까봐 ... 조금은 마음이 놓이네요. 첫 번째 사연의 청취자분도 판매자에 대해 꼼꼼히 찾아본 뒤에 용기 내서 거래에 도전해 보세요! 노래 한 곡 듣겠습니다~ ... ...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멈춥니다.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 ‘학습하기’ 코너에서 ‘오픈 강의’를 클릭한 뒤 검색창에 ‘수학동아 11월호’를 검색해 보세요! 그러면 대칭 프로그램을 조금 더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요. 화면 구성과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변수가 기본으로 저장돼 있어 블록을 이용해 알고리즘만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우연히 유클리드의 을 읽고 수학에 푹 빠진 수학자도 있었다.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 유클리드의 책이 잘못 설명한 부분이 있다며 반박했던 수학자도 있었다.“역시 대단해요. 유클리드 아저씨의 을 읽고 영감을 얻은 수학자가 참 많던걸요! 혼자서 이 모든 것을 생각해내다니….”“음, ... ...
- [과학뉴스] 고추냉이(와사비)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먹는 부분은 땅속줄기(근경)입니다. 생것으로 강판에 갈아서 먹거나, 완전히 건조시킨 뒤 분쇄해 물로 반죽한 것을 먹는데요. 가공 전 고추냉이 소스는 색이 거의 없습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황록색 고추냉이는 100% 식용색소를 첨가한 것입니다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만들고, 또 다른 반원을 연결해 새로운 고리가 생기게 했다(아래 그림). 그리고 난 뒤 구리이온을 제거해 카테네인을 높은 수율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많은 화학자들이 카테네인뿐만 아니라 트레포일 매듭, 보로미언 링, 솔로몬 매듭 등 구조가 흥미로우나 합성이 어려운 분자의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히가시야마 교수와 오사카대 인간과학대 코헤이 아다치 교수는 허리를 굽혀 다리 사이로 뒤를 바라보면 사물이 달라 보이는지 연구해 인식상이라는 독특한 분야를 개척(?)했다. 연구 결과, 실제로 몸의 방향이 바뀌면 사람이 인식하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가 변했다(시각연구, 2006, 46(23), 3961-76)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실제로 일본은 1977년 라쿤이 등장하는 어린이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엄청난 성공을 거둔 뒤 수 년 간 매달 1500마리 이상이 애완용으로 수입됐다. 그러나 지나치게 활발한 성격을 감당하지 못한 사람들이 라쿤을 함부로 방생했고, 야생화된 라쿤은 작물을 헤집고 역사적인 목조 사원을 갉아 먹었다.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것으로 밝혀졌다.siRNA는 miRNA의 일부가 효소에 의해 변형된 것과 몸 밖에서 제작한 뒤 주입해 주는것 두 가지가 있다. 특히 mRNA를 인식하고 결합하는 상보적인 염기서열이 miRNA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단 하나의 mRNA에만 달라붙는다. miRNA가 ‘일당백’이라면 siRNA는 ‘원샷 원킬’인 셈이다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비행 등을 시험할 예정이다. 드론 배송 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 에어’를 2013년 발표한 뒤 3년 만에 이뤄지는 시험비행이다.취미용 드론에 비해 배송용 드론 서비스 출시가 늦어지는 이유는 대부분 안전과 보안 문제다. 특히 드론해킹이 이슈가 되고 있다. 보통 와이파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자인 아마엘 볼 체, 배윤혁 연구원에게 개구리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배운 뒤, 개구리들을 모두 논에 풀어 주었답니다.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 앱을 활용해 탐사기록 올리는 방법도 배웠지요.‘벌들의 합창’ 팀의 현준서 대원은 “개구리를 관찰하고 탐사하는 것이 재미있다”며, “올해 탐사를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