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빠질 수 없겠죠. 연구소 안에 작은 식당에선 두툼한 고기를 튀긴 커틀렛과 감자를 삶은 뒤 으깬 퓌레를 팝니다. 한국의 김치찌개, 된장찌개처럼 러시아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메뉴입니다. 보르쉬’라고 하는 빨간무를 재료로 한 따끈한 스프도 추천합니다. 원래 맛있는 건지 날씨가 추워서 맛있는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기술을 출자해 ‘메가펨’이라는 기술출자기업을 설립하고, 연구소기업으로 등록한 뒤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후각융합연구센터를 설립해 후각신경계를 이용한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준다. 연구팀은 에탄올아민을 이산화티타늄 위에 떨어뜨린 뒤 회전시키면서 코팅했다.그 결과 전자수송층과 활성층 사이에 쌍극자가 생기면서 전자가 이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작아지고 전자 흐름이 좋아졌다. 이 소자를 태양전지로 사용하면 기존 태양전지보다 ... ...
- Part 3. 발암물질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소변에 들어 있는 ‘NNAL’이에요. NNAL은 담배 속 발암물질인 NNK가 우리 몸에 들어간 뒤, 간에서 해독 작용을 거치면서 변한 물질이지요.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나쁜 물질의 독성을 줄이고, 이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요. 그런데 NNK는 간이 완전히 해독하지 못할 정도로 독성이 매우 강해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자인 아마엘 볼 체, 배윤혁 연구원에게 개구리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배운 뒤, 개구리들을 모두 논에 풀어 주었답니다.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 앱을 활용해 탐사기록 올리는 방법도 배웠지요.‘벌들의 합창’ 팀의 현준서 대원은 “개구리를 관찰하고 탐사하는 것이 재미있다”며, “올해 탐사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고독한 육상 선수를 찾는 외로운 주자 추측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합니다. 때로는 문제를 바꾼 뒤, 이렇게 바꿔 풀어도 원래 문제를 푼 것과 같다는 사실을 증명합니다. 외로운 주자 추측도 그렇게 바꾼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각 주자의 속도를 정수로 가정하고 풀어도 된다는 것이지요. 속도가 무리수나 소수가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유인 탐사를 주제로 ‘과학동아’에 릴레이 연재를 했다. 국제우주정거장 임무가 종료된 뒤, 우주 선진국들이 주목하는 다음 주요 우주 임무가 화성 유인 탐사라는 정보를 듣고 만든 기획이었다.이번에 최지원 기자가 맡은 화성 특집은, 그 때보다 더 화성이 가까워진 상황에서 기획됐다. 유럽과 ...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난소에 있는 지지 세포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그 결과, 원시 생식세포는 11일 뒤 성숙한 난자가 됐다. 연구팀은 이 난자를 다른 수컷 쥐의 정자와 인공수정 해 대리모 쥐에 착상시켰고, 그 결과 생식 능력을 가진 새끼 쥐 11마리가 태어났다. 하야시 박사는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라 기술적인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교수는 효모에 일부러 돌연변이를 일으켜 오토파지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효모를 만든 뒤 관찰해, 자가소포체 안에 세포 구성요소나 소기관들이 분해되지 못하고 쌓여 있는 것을 확인했다.1992년 오스미 교수는 효모에서 오토파지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학계에 보고했다. 이듬해에는 같은 방법으로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것으로 밝혀졌다.siRNA는 miRNA의 일부가 효소에 의해 변형된 것과 몸 밖에서 제작한 뒤 주입해 주는것 두 가지가 있다. 특히 mRNA를 인식하고 결합하는 상보적인 염기서열이 miRNA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단 하나의 mRNA에만 달라붙는다. miRNA가 ‘일당백’이라면 siRNA는 ‘원샷 원킬’인 셈이다 ... ...
이전4294304314324334344354364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