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반복했다. 신장 세포를 배양한 뒤 다양한 농도로 양자점을 넣은 용액과 반응시켰다. 그런 뒤 세포와 엑소좀에서 나타난 현상을 분석했다.연구팀은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miRNA와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 내 단백질에 초점을 맞춰 양자점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우선 양자점에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디서 무얼 먹었는지. 국가적 재난은 모든 국민에게 트라우마로 남는다. 재난이 발생한 뒤 진상규명이나 수습과정이 미온할 때 더욱 그렇다. 최근 몇 년 사이 큰 재난 여럿을 겪은 대한민국 사회가,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점검해 봐야 하는 이유다.먼저 진실을 밝히는 과정. 2010년 3월 26일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제공 ● 한글 자음 속 대칭네모난 종이를 반으로 접어 한쪽에 여러 색의 물감을 묻힌 뒤, 반으로 접었다 펴면 재미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접힌 선을 기준으로 양쪽은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화가 오스카 도밍게즈가 생각해낸 미술 장식 기법 ‘데칼코마니’다. 데칼코마니를 수학적으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식물 전체가 움직일 수는 없지요.그런데 특이하게도 워킹 팜은 새로운 뿌리를 내린 뒤 기존의 뿌리를 스스로 잘라내요. 그럼 워킹 팜 전체가 새로운 뿌리를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되지요. 이러한 현상은 양분을 더 많이 흡수하고 생장하기 위한 생존 전략이에요. 워킹 팜은 이 전략을 이용해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높다.게임 랜덤박스는 대부분 ‘독립시행’이다. 독립시행이란 시행을 여러 번 할 때 앞뒤 시행 확률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말한다. 동전을 100번 던져 모두 앞면이 나와도 그 다음에 뒷면이 나올 확률은 그대로 12인 것과 같다. 따라서 청동 갑옷을 세 개 뽑은 아돌이 다음에 가브리엘의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기계식 계산기를 발명했어요. 태엽으로 톱니바퀴를 돌려 수를 계산하는 방식이에요. 20년 뒤 프랑스의 수학자 블레이즈 파스칼은 덧셈과 뺄셈이 가능한 금속 계산기를 만들었어요. 톱니바퀴 8개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형태로, 톱니바퀴 각각은 각 자리의 수를 계산했어요.하지만 이들 계산기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실감나는 전투를 인터뷰 벌이는 게임이고, ‘버즈레이싱’은 경주용 자동차를 조립한 뒤 장애물을 피하고 꿀을 모아 최대한 멀리 달리는 캐주얼 레이싱 게임이다.셈스게임즈는 연이어 어린이용 게임을 개발하면서 게임 엔진도 보유하게 됐다. 그 덕분에 지금은 여러 회사와 제휴해 유명 ...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환자 39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진짜와 가짜 진통제를 처방한 뒤 같은 방법으로 뇌를 관찰했다. 여기서도 가짜 진통제를 처방받은 환자들 중 절반이 플라시보 효과를 보였고 뇌의 같은 부분이 활성화됐다. 반면 진짜 진통제를 처방받은 환자들은 오른쪽 해마옆이랑 영역이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5km 성층권까지 치솟고 100km3의 화산재가 방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백두산 연구는 장족의 발전을 이뤘다. 마그마 방의 위치가 드러나고 화산 분화 시 구체적인 재해범위를 추정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백두산 관련 최신 연구 결과를 모아 정리한다.화산폭발 재해A 화산재백두산은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따라 특정한 값을 갖는다. 예컨대 확장자로 ‘jpg’를 갖는 파일은 맨 앞에 ‘FFD8’, 맨 뒤에 ‘FFD9’이라는 값을 갖는다. 각각을 헤더 시그니처, 풋터(footer) 시그니처라 한다. 이외에도 중간 중간에 파일의 특성을 의미하는 시그니처가 분포해 있다. 전문가들은 이 시그니처를 찾아 링크 정보 없이 ... ...
이전4254264274284294304314324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