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코드 마스터] 엉망진창 책장 속 책들, 어떻게 정렬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퀵 정렬 알고리즘’이에요.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하나 뽑은 뒤, 이 데이터보다 크기가 작은 것과 큰 것을 찾아 정렬하는 방식이에요. ‘퀵(quick)’, 즉 ‘빠르다’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매우 빠른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답니다.3, 5, 4, 1, 2 순으로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불리는 이 장치는 최근 애니메이션 의 주인공 피규어를 원판에 세운 뒤돌려서 영화처럼 보이도록 만든 장치예요. 이 장치에서 잔상 효과를 내기 위해서 빛을 이용했어요. 3D 조트로프 주변에 깜빡깜빡하는 빛을 쪼이면 빛이 꺼지는 순간 잔상 효과가 나타나며 마치 피규어가 움직이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지구와 달까지 거리의 10분의 1만큼 더 멀어지게 돼요. 천문학자들은 이대로라면 15억 년 뒤에는 목성의 중력에 의해 달이 끌려갈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답니다.달이 사라지면 지구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요? 우선 안정적으로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자전축이 마구 흔들릴 거예요. 그러면 지구는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운명을 다했단다. 흑흑.대원들은 채집한 귀화식물을 스마트폰 현미경과 루페로 관찰한 뒤, 표본 부스로 가져갔어. 그곳에서 채집한 식물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표본용 특수 종이에 붙여 표본으로 만들었지.‘꿈꾸는 지구’ 팀의 김신혜 대원은 “미션을 통해 귀화식물에 대해 배워 재미있었다”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등이 있었고 소형차, 전기차, 스포츠카들이 코스를 달리고 있었답니다. 학을 마치고 난 뒤에는 마지막으로 친환경 자동차 만들기 미션이 시작됐어요.“각 팀별로 자동차가 달릴 장소, 자동차의 모양, 바퀴, 사용할 에너지를 고르세요.”선생님의 설명에 따라 각 조의 친구들은 자동차를 설계하기 ... ...
-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지켜라! 코드마스터] 신발 먼저 신을래, 양말 먼저 신을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호가 ‘컴퓨팅 사고’에 대해 조금씩 깨닫기 시작했어요. 컴퓨팅 사고는 일을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말하지요. 이때 꼭 ... 맵을 보고 두 아이템을 가장 빨리 얻는 길을 결정해야 할 때도 있어요. 앞은 제작자가, 뒤는 사용자가 위상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경우랍니다 ... ...
- [수학 뉴스] 폴 포그바의 댄스, 수학 문제로 등장수학동아 l2016년 12호
- SNS에 풀이와 답을 올리고 있습니다. 폴 포그바 역시 자신의 SNS에 이 문제를 소개한 뒤, “내 댑 댄스는 훌륭하다. 내가 이미 증명했다” 고 말했습니다.한편 댑 댄스는 재미있는 춤 동작 때문에 미국에서 국민 춤으로 불리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손흥민 선수도 지난 8월 열린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무게가 17톤 이하인 ‘라이트급’ 비행기는 최소한 158초를 기다렸다가 와후류가 사라진 뒤에 이륙을 시도해야 합니다.와후류는 날씨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비행기의 무게와 달리 온도와 습도, 풍속 등은 변화무쌍합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 와후류의 모양과 속도 데이터를 예측한 값과 실제 값의 ...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펠스너는 n이 크다면 어느 꼭짓점도 두 번 들르지 않고 25% 이상의 꼭짓점을 방문한 뒤 시작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고 증명했습니다. 같은 해 미국 수학자 칼라 새비지와 피터 윙클러는 25%를 83%로 높였습니다.2004년 로버트 존슨은 어떤 상수 c에 대해 전체 꼭짓점 중에이하만 빼면 모두 한 번씩 ... ...
- [수학실험실] 자르고 접어서 대칭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자음 속 대칭네모난 종이를 반으로 접어 한쪽에 여러 색의 물감을 묻힌 뒤, 반으로 접었다 펴면 재미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접힌 선을 기준으로 양쪽은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화가 오스카 도밍게즈가 생각해낸 미술 장식 기법 ‘데칼코마니’다. 데칼코마니를 수학적으로 보면 대칭, 더 ... ...
이전422423424425426427428429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