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운명을 다했단다. 흑흑.대원들은 채집한 귀화식물을 스마트폰 현미경과 루페로 관찰한 뒤, 표본 부스로 가져갔어. 그곳에서 채집한 식물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표본용 특수 종이에 붙여 표본으로 만들었지.‘꿈꾸는 지구’ 팀의 김신혜 대원은 “미션을 통해 귀화식물에 대해 배워 재미있었다”며, ... ...
- [도전! 코드 마스터] 엉망진창 책장 속 책들, 어떻게 정렬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퀵 정렬 알고리즘’이에요.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하나 뽑은 뒤, 이 데이터보다 크기가 작은 것과 큰 것을 찾아 정렬하는 방식이에요. ‘퀵(quick)’, 즉 ‘빠르다’라는 이름이 붙은 만큼 매우 빠른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답니다.3, 5, 4, 1, 2 순으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등이 있었고 소형차, 전기차, 스포츠카들이 코스를 달리고 있었답니다. 학을 마치고 난 뒤에는 마지막으로 친환경 자동차 만들기 미션이 시작됐어요.“각 팀별로 자동차가 달릴 장소, 자동차의 모양, 바퀴, 사용할 에너지를 고르세요.”선생님의 설명에 따라 각 조의 친구들은 자동차를 설계하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기의 마술카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지구와 달까지 거리의 10분의 1만큼 더 멀어지게 돼요. 천문학자들은 이대로라면 15억 년 뒤에는 목성의 중력에 의해 달이 끌려갈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답니다.달이 사라지면 지구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요? 우선 안정적으로 기울어져 있는 지구의 자전축이 마구 흔들릴 거예요. 그러면 지구는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불리는 이 장치는 최근 애니메이션 의 주인공 피규어를 원판에 세운 뒤돌려서 영화처럼 보이도록 만든 장치예요. 이 장치에서 잔상 효과를 내기 위해서 빛을 이용했어요. 3D 조트로프 주변에 깜빡깜빡하는 빛을 쪼이면 빛이 꺼지는 순간 잔상 효과가 나타나며 마치 피규어가 움직이는 ... ...
- 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속하지요. 1928년에 공기 중에 표백제를 뿌리면 미생물이 죽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뒤, 살균제가 개발되고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지요.미생물은 원래 높은 온도의 열이나 강한 자외선에도 죽지만, 살균제 같은 화학물질을 대량으로 사용하면 더욱 빠르게 많은 양을 없앨 수 있어요. 그래서 살균제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잡고 버티는 것을 뜻한답니다. 따라서 ‘지탱하다, 버티다’라는 뜻을 나타내요.한편 뒤에 쓰인 ‘지(持)’는 ‘가지다’를 뜻해요.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지(寺)’만으로도 물건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 앞에 손을 뜻하는 ‘수(扌(=手))’를 더해 ‘손으로 물건을 가지다, 붙들다’를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때 작성하는 그래프를 ‘퍼트도’라고 부른다. 처음 계획대로 퍼트도를 그린 뒤 문제가 되는 부분을 수정해 효율성을 높인다.퍼트법은 1958년 등장한 수학적 사고 방법으로, 새로운 일에 들어갈 때 인력이 얼마나 필요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지 미리 예측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부모님이라도 자녀와 함께 힘을 합치면 미션을 통과할 수 있도록 대회를 꾸몄다. 대회 뒤 학부모와 학생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음은 물론이다. 학교의 노력이 SW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씩 걷어내고 있다는 증거다.Q 프로그래밍 대회 수상을 축하해요! 대회에서 어떤 미션을 해결했나요?원석 : 여러 ...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1월 7일 밝혔다.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팀은 올해 2월 검룡소에서 이 미생물을 발견한 뒤 유전자 해독과 배양 작업을 해 왔다. 분석 결과 이 미생물은 이전에 발견된 적이 없는 종이었으며, 총 4424개의 유전자 중에서 수질오염물질인 황화합물과 질산성질소를 제거하는 유전자가 다수 발견됐다. 이 ... ...
이전422423424425426427428429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