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신발 디자이너 ‘ 샌드리나 스레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높고 숭고하죠. 이런 썰렁홈즈님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은…, 디자인은…!”며칠 뒤 썰렁홈즈는 ‘샌드리나 스레파’로부터 감사의 편지와 함께 샌들을 선물로 받았다. 하지만 그 샌들은 너무 높고 숭고해서 제대로 신고 다닐 수가 없었다. 흑…, 썰렁홈즈, 지못미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하는 식으로요. 하지만 kg은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예요.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는 ‘kg’ 뒤에 중력가속도를 뜻하는 ‘중’을 붙여 ‘kg·중’이라고 쓰지요. 만약 무게를 힘으로 나타내고 싶을 땐 질량에 중력가속도인 9.8m/s2을 곱해 ‘N’(뉴턴)이라는 단위를 붙여요. 따라서 60kg·중인 친구의 무게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얼음 도둑 ‘ 아이스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개의 문이 있지? 이 중 하나의 문 뒤에는 마을로 갈 때 탈 자동차가 들어있어. 나머지 문 뒤에는 뾰족한 하이힐이 들어 있지. 문 하나를 선택하면 그 안에 있는 걸 선물로 주지. 단, 처음에 문을 하나 고르면 내가 나머지 두 개의 문 중 하나를열어 보여 줄 거야. 그때 처음 선택을 바꿔도 돼.” 되찾은 ... ...
- Part 5. 반려견, 사지 말고 입양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든다면 그때 입양해도 늦지 않답니다.하지만 더더욱 중요한 것은 강아지를 입양한 뒤 버리지 않고 끝까지 함께하는 거예요. 김광식 위드펫동물병원 수의사는 “반려견이 유기견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은 실천이 강아지 번식 공장이나 유기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라고 ... ...
- [숲이야기] 곤충이야, 버섯이야? 동충하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좀비개미에 대해 들어 보았나요? 좀비개미들은 균에 감염돼 죽은 개미로, 죽은 뒤에도 무언가에게 뇌를 조종당해 움직이는 특징이 있어요. 그리고 이들은 모두 머리에 뾰족하게 솟은 자실체를 달고 있지요. 좀비개미를 만드는 균은 ‘포식 동충하초’에 속하는 네 종의 동충하초균이랍니다.이 ... ...
- Intro. 목성을 비밀을 밝혀라! 탐사선 ‘주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주노(Juno)’에 타고 있는 레고들이야. 지난 7월 5일, 주노가 목성 궤도에 무사히 진입한 뒤로 지금까지 목성 궤도를 유유히 돌고 있지. 주노는 앞으로 약 1년 반 동안 목성을 총 37바퀴 돌 거야. 주노가 밝힐 목성의 비밀이 궁금하지 않니? 우리와 함께 목성으로 떠나 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미네랄이 풍부한 바닷물보다 밀도가 낮아요. 그래서 이 물이 바다에 한꺼번에 들어간 뒤에도 바다에 원래 있던 짠물 위에 동동 떠 있게 됐지요.원래 북아메리카 쪽에서는 찬 바닷물이 바다 밑으로 가라 앉아 적도 쪽으로 내려가고, 적도에서 데워진 물은 위로 올라오며 지구의 열이 골고루 순환되고 ... ...
- [과학뉴스] 돌돌~ 말리는 태양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만들기 위해 도장처럼 찍어 프린팅하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했어요. 소자를 만든 뒤 깎아내는 기존 방법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빠르지요. 이렇게 만든 태양전지는 지름 1.4mm 정도의 면봉에 돌돌 말아도 전기를 만들어낸답니다.이종호 교수는 “이 태양전지는 잘 구부러지기 때문에 입을 수 있는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즉,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활용하는 거예요. 동시에 다리를 펼쳤다 오므리면서 물을 뒤로 밀어내어 앞으로 나가기도 해요.이탈리아 성안나대학교 바이오로봇공학 연구소의 세실리아 라스키 교수는 이런 문어와 똑같이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했어요. 이 로봇은 문어처럼 팔로 휘감아 물건을 잡고,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망원경이 소행성 뒤를 졸졸~소행성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행성을 계속 관측해 지금 어디 있는지 알아내고 크기와 궤도를 계산하는 거예요. 그런데 소행성은 크기가 워낙 작고 이동 속도도 빨라요.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이 ... ...
이전4204214224234244254264274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