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원자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옮길 수 있어요. 미리 약속된 규칙대로 염소 원자를 배열시킨 뒤 이를 해독하면 정보를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것이 가능해지는 거예요.오뜨 박사는 “저온이나 고진공 상태에서만 이 장치를 쓸 수 있다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라고 밝혔어요 ...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0.1초 전의 과거를 볼 수밖에 없어요.우리의 뇌는 이런 시간 간격을 보완하기 위해 0.1초 뒤의 상황을 미리 추측해서 판단을 해요. 결국 테니스 공을 볼 때도 애매한 상황에서는 공이 0.1초 동안 더 멀리 날아갔을 것으로 판단해서 아웃 오심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거예요.이 연구를 통해 사람들은 정확한 ... ...
- Part 5. 반려견, 사지 말고 입양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든다면 그때 입양해도 늦지 않답니다.하지만 더더욱 중요한 것은 강아지를 입양한 뒤 버리지 않고 끝까지 함께하는 거예요. 김광식 위드펫동물병원 수의사는 “반려견이 유기견이 되지 않도록 하는 작은 실천이 강아지 번식 공장이나 유기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라고 ... ...
- Intro. 목성을 비밀을 밝혀라! 탐사선 ‘주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주노(Juno)’에 타고 있는 레고들이야. 지난 7월 5일, 주노가 목성 궤도에 무사히 진입한 뒤로 지금까지 목성 궤도를 유유히 돌고 있지. 주노는 앞으로 약 1년 반 동안 목성을 총 37바퀴 돌 거야. 주노가 밝힐 목성의 비밀이 궁금하지 않니? 우리와 함께 목성으로 떠나 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숲이야기] 곤충이야, 버섯이야? 동충하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좀비개미에 대해 들어 보았나요? 좀비개미들은 균에 감염돼 죽은 개미로, 죽은 뒤에도 무언가에게 뇌를 조종당해 움직이는 특징이 있어요. 그리고 이들은 모두 머리에 뾰족하게 솟은 자실체를 달고 있지요. 좀비개미를 만드는 균은 ‘포식 동충하초’에 속하는 네 종의 동충하초균이랍니다.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얼음 도둑 ‘ 아이스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개의 문이 있지? 이 중 하나의 문 뒤에는 마을로 갈 때 탈 자동차가 들어있어. 나머지 문 뒤에는 뾰족한 하이힐이 들어 있지. 문 하나를 선택하면 그 안에 있는 걸 선물로 주지. 단, 처음에 문을 하나 고르면 내가 나머지 두 개의 문 중 하나를열어 보여 줄 거야. 그때 처음 선택을 바꿔도 돼.” 되찾은 ... ...
- [과학뉴스] 돌돌~ 말리는 태양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만들기 위해 도장처럼 찍어 프린팅하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했어요. 소자를 만든 뒤 깎아내는 기존 방법에 비해 훨씬 간단하고 빠르지요. 이렇게 만든 태양전지는 지름 1.4mm 정도의 면봉에 돌돌 말아도 전기를 만들어낸답니다.이종호 교수는 “이 태양전지는 잘 구부러지기 때문에 입을 수 있는 ... ...
- [헷갈린 과학] 자두 VS 살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꽃이 피는데, 꽃자루가 짧아서 매화와 무척 비슷해요. 하지만 살구꽃은 꽃받침이 뒤로 젖혀져 있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답니다.살구 열매는 주황색으로 익는데, 햇빛을 많이 받은 부분은 붉은색을 띠기도 해요. 그 크기는 3cm 정도로 자두보다 작고 과육은 주황색을 띈답니다. 우리가 과일로 먹는 ... ...
- [도전! 코드 마스터] 컴퓨터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아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포함된 구간이 있는지 재빨리 훑는 방식이지요. 그리고 비슷한 단어가 발견되면 앞, 뒤의 일정한 부분까지 보이게 해서 검색 결과로 표시해 줘요. 이때 어느 정보를 우선적으로 찾고 표시하는지는 사이트별로 조금씩 다르답니다.예를 들어 ‘구글 검색’은 ‘페이지 랭크(PageRank)’라는 알고리즘을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미네랄이 풍부한 바닷물보다 밀도가 낮아요. 그래서 이 물이 바다에 한꺼번에 들어간 뒤에도 바다에 원래 있던 짠물 위에 동동 떠 있게 됐지요.원래 북아메리카 쪽에서는 찬 바닷물이 바다 밑으로 가라 앉아 적도 쪽으로 내려가고, 적도에서 데워진 물은 위로 올라오며 지구의 열이 골고루 순환되고 ... ...
이전4204214224234244254264274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