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SW로 세상을 바꿔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SW에 관심이 많았거든요.제가 만든 영수증발급시스템은 간단해요. 일단 물건을 구입한 뒤, 종이 영수증을 출력할지 정하지요. 만약 필요하지 않을 경우 ‘NO’를 선택하고, 이후 문자 영수증을 발급하겠다고 선택할 수 있지요. 이 시스템이 잘 활용된다면 종이를 절약하고 영수증에서 묻어 나오는 ...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전체 몸길이는 50~70cm로, 황갈색이나 적갈색을 띠고 있어요. 또 눈 뒤에서부터 목 뒤까지 흑갈색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지요. 무자치는 물과 가까운 곳에서 살면서 바위 아래나 쥐구멍, 덤불 속에서 휴식을 취해요.한편 쇠살모사는 살모사 중에서도 크기가 작은 편이지만, 무서운 독을 가지고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흙 토(土)’가 붙어 있어요. 온누리에 흙이 깔린 상태, 즉 너른땅을 의미하지요.국지 뒤에 성질이나 상태를 의미하는 ‘성질 성(性)’을 붙이면 ‘좁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을 수식하는 단어가 돼요. 예를 들어 ‘국지성 호우(局地性 豪雨)’는 좁은 지역에 세차게 쏟아지는 소나기를 ... ...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사라져온 것으로 알려졌지요. 하지만 우리 하드로사우르스는 많은 공룡들이 사라지고 난 뒤인 7000만 년 전 백악기 말에 오히려 번성했어요.일리 : 하드로사우루스가 번성했던 이유가 있을까?하드로사우루스 : 우리 이름인 하드로사우루스는 ‘오리 주둥이 공룡’이라는 뜻이에요. 오리처럼 넓적하고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도토리거위벌레는 상수리나무의 가지를 잘라 도토리를 떨어뜨린 뒤, 거기에 알을 낳아 번식한답니다.낮 탐사 동안 대원들은 풀숲을 헤치고 썩은 고목 속을 들여다보고, 또 바위를 들추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어요. 이 과정에서 다양한 곤충은 물론, 여러 곤충들의 탈피각과 매미의 날개 등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벗어날 수 있는 속도를 ‘탈출속도’라고 불러요. 풍선을 천으로 열심히 문지른 뒤, 역시 천으로 문지른 둥글고 가느다란 비닐을 풍선 위에 얹어 보자. 풍선을 향하는 방향에 맞춰 비닐 끈이 둥실둥실 떠오를 것이다. 비닐이 공중부양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물체를 다른 물체로 문지르면 ... ...
- Part 1. 단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마리가 발견됐어요. 죽은 지 하루나 이틀 정도밖에 안 된 어린 개체였지요. 그런데 한 달 뒤인 5월, 서울 마포구 성산대교 근처에서 또 한 마리가 발견됐어요. 이때 발견된 개체도 약 1m 크기의 어린 상괭이였지요.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는 두 상괭이가 죽은 원인을 밝히기 위해 *부검을 ...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디지털 스타팅 건을 사용하고 있어요. 스타팅 건을 누르면 각각의 선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로 출발을 알리기 때문에 모든 선수들이 공평하게 출발 신호를 들을 수 있지요. 또한 스타팅 건에서 나오는 빛으로도 출발 신호를 보내요. 빛은 속도가 초속 약 3억m로 소리보다 훨씬 빠르답니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신발 디자이너 ‘ 샌드리나 스레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높고 숭고하죠. 이런 썰렁홈즈님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은…, 디자인은…!”며칠 뒤 썰렁홈즈는 ‘샌드리나 스레파’로부터 감사의 편지와 함께 샌들을 선물로 받았다. 하지만 그 샌들은 너무 높고 숭고해서 제대로 신고 다닐 수가 없었다. 흑…, 썰렁홈즈, 지못미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하는 식으로요. 하지만 kg은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예요.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는 ‘kg’ 뒤에 중력가속도를 뜻하는 ‘중’을 붙여 ‘kg·중’이라고 쓰지요. 만약 무게를 힘으로 나타내고 싶을 땐 질량에 중력가속도인 9.8m/s2을 곱해 ‘N’(뉴턴)이라는 단위를 붙여요. 따라서 60kg·중인 친구의 무게는 ... ...
이전4194204214224234244254264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