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발광다이오드나 스피커가 있으면 전자 회로를 만들 준비 끝! 필요한 부품을 찾은 뒤엔 부품의 방향을 잘 살펴보아야 해요. 전자 회로에 들어갈 부품은 두 가지 방향으로 끼울 수 있는데, 모두 같은 방향으로 끼워야만 전류가 제대로 흐르거든요.그 이유는 전류가 (+)극에서 (-)극으로 흐르기 ... ...
- Part 2. 자동차, 스스로 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카메라, 위성항법장치(GPS)가 눈 역할을 하기 때문이에요. 레이더는 전파를 발사한 뒤,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반사된 전파의 모양을 분석해요. 이를 통해 주변 물체들의 거리와 크기 등을 잰답니다. 카메라는 주변 상황을 영상으로 찍은 뒤, 미리 저장해놓은 여러 물체들의 정보를 ... ...
- [핫이슈] SW로 세상을 바꿔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SW에 관심이 많았거든요.제가 만든 영수증발급시스템은 간단해요. 일단 물건을 구입한 뒤, 종이 영수증을 출력할지 정하지요. 만약 필요하지 않을 경우 ‘NO’를 선택하고, 이후 문자 영수증을 발급하겠다고 선택할 수 있지요. 이 시스템이 잘 활용된다면 종이를 절약하고 영수증에서 묻어 나오는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흙 토(土)’가 붙어 있어요. 온누리에 흙이 깔린 상태, 즉 너른땅을 의미하지요.국지 뒤에 성질이나 상태를 의미하는 ‘성질 성(性)’을 붙이면 ‘좁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일’을 수식하는 단어가 돼요. 예를 들어 ‘국지성 호우(局地性 豪雨)’는 좁은 지역에 세차게 쏟아지는 소나기를 ... ...
- Part 1. 단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마리가 발견됐어요. 죽은 지 하루나 이틀 정도밖에 안 된 어린 개체였지요. 그런데 한 달 뒤인 5월, 서울 마포구 성산대교 근처에서 또 한 마리가 발견됐어요. 이때 발견된 개체도 약 1m 크기의 어린 상괭이였지요.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는 두 상괭이가 죽은 원인을 밝히기 위해 *부검을 ...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디지털 스타팅 건을 사용하고 있어요. 스타팅 건을 누르면 각각의 선수 바로 뒤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로 출발을 알리기 때문에 모든 선수들이 공평하게 출발 신호를 들을 수 있지요. 또한 스타팅 건에서 나오는 빛으로도 출발 신호를 보내요. 빛은 속도가 초속 약 3억m로 소리보다 훨씬 빠르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벗어날 수 있는 속도를 ‘탈출속도’라고 불러요. 풍선을 천으로 열심히 문지른 뒤, 역시 천으로 문지른 둥글고 가느다란 비닐을 풍선 위에 얹어 보자. 풍선을 향하는 방향에 맞춰 비닐 끈이 둥실둥실 떠오를 것이다. 비닐이 공중부양하는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물체를 다른 물체로 문지르면 ...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원자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옮길 수 있어요. 미리 약속된 규칙대로 염소 원자를 배열시킨 뒤 이를 해독하면 정보를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것이 가능해지는 거예요.오뜨 박사는 “저온이나 고진공 상태에서만 이 장치를 쓸 수 있다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라고 밝혔어요 ...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0.1초 전의 과거를 볼 수밖에 없어요.우리의 뇌는 이런 시간 간격을 보완하기 위해 0.1초 뒤의 상황을 미리 추측해서 판단을 해요. 결국 테니스 공을 볼 때도 애매한 상황에서는 공이 0.1초 동안 더 멀리 날아갔을 것으로 판단해서 아웃 오심을 더 많이 하게 되는 거예요.이 연구를 통해 사람들은 정확한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도토리거위벌레는 상수리나무의 가지를 잘라 도토리를 떨어뜨린 뒤, 거기에 알을 낳아 번식한답니다.낮 탐사 동안 대원들은 풀숲을 헤치고 썩은 고목 속을 들여다보고, 또 바위를 들추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어요. 이 과정에서 다양한 곤충은 물론, 여러 곤충들의 탈피각과 매미의 날개 등을 ... ...
이전4194204214224234244254264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