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즉,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활용하는 거예요. 동시에 다리를 펼쳤다 오므리면서 물을 뒤로 밀어내어 앞으로 나가기도 해요.이탈리아 성안나대학교 바이오로봇공학 연구소의 세실리아 라스키 교수는 이런 문어와 똑같이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했어요. 이 로봇은 문어처럼 팔로 휘감아 물건을 잡고, ... ...
- 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알려서 좀 더 세밀하게 관측하는 거예요. 소행성의 크기와 궤도 등을 계산한 뒤, 충돌 예상 지역에 알려 미리 대비시키려는 거지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행성을 막아라!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찾아라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Part 3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망원경이 소행성 뒤를 졸졸~소행성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행성을 계속 관측해 지금 어디 있는지 알아내고 크기와 궤도를 계산하는 거예요. 그런데 소행성은 크기가 워낙 작고 이동 속도도 빨라요.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이 ... ...
- [과학뉴스] 사냥의 명수, 카멜레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사냥 비결을 분석해 발표했어요. 카멜레온은 끈끈한 혀를 뻗어서 먹이에 붙인 뒤, 혀를 입으로 다시 끌어당겨 사냥을 해요. 연구팀은 카멜레온이 커다란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선 먹이에 혀가 강하게 달라붙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카멜레온 혀에서 나오는 점액질을 유리판에 묻힌 뒤 ... ...
- [가상인터뷰] 전기로 앞을 보는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길쭉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답니다. 긴 주둥이를 이용해 진흙 바닥을 뒤져 먹이를 찾곤 하지요. 독특한 생김새 때문에 사람들이 관상용으로 많이 기르기도 해요.저는 주로 강물 바닥에 사는 조그만 지렁이들을 먹고 살아요. 하지만 강물 바닥에 있는 진흙 때문에 물이 뿌옇게 ...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바른 자세로 척추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오랫동안 유지하는 경우가 많지요. 이런 자세는 척추 건강에 좋지 않답니다.”강연 뒤에는 전문 트레이너와 함께 척추에 좋은 운동을 배워 보는 시간도 가졌어요. 신나는 음악에 맞춰 팔 다리를 쭉쭉 뻗고, 크게 돌리는 동작들을 따라했지요. 부모님, 친구들과 짝을 이뤄 함께 스트레칭을 하고, 누가 ... ...
- [핫이슈] 새콤달콤 여름을 즐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바로, 향수 옥천 포도·복숭아 축제~! 평소에 그냥 먹던 포도와 복숭아를 제대로 알아본 뒤, 함께 축제 현장으로 가 볼까? 어린이들을 위한 포도·복숭아 축제포도껍질은 지시약?포도, 블루베리, 체리, 흑미.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바로 ‘안토시아닌’이에요. 모두 안토시아닌 덕분에 ... ...
- [과학뉴스] 기억력을 높이는 운동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동시에 자기공명장치를 이용해 뇌의 활동도 조사했지요. 실험 결과, 학습 후 4시간 뒤 운동을 했던 그룹의 ‘해마’가 가장 활발하게 작동했어요. 해마는 뇌에서 기억을 담당해요. 이 그룹은 시험 점수도 10% 정도 높았답니다.페르난데스 교수는 “앞으로 뇌에서 분비되는 물질과 운동의 관계에 대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그 이유가 기체의 성질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공기는 페트병의 넓은 입구로 들어간 뒤 좁은 입구를 통과하면서 압축됐다가, 다시 페트병 밖으로 나오며 팽창해요. 그 과정에서 기체의 온도가 낮아진다는 거예요.이 원리를 ‘줄-톰슨 효과’라고 해요. 우리가 입을 크게 벌리고 입김을 내뿜었을 때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운명을 다했단다. 흑흑.대원들은 채집한 귀화식물을 스마트폰 현미경과 루페로 관찰한 뒤, 표본 부스로 가져갔어. 그곳에서 채집한 식물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표본용 특수 종이에 붙여 표본으로 만들었지.‘꿈꾸는 지구’ 팀의 김신혜 대원은 “미션을 통해 귀화식물에 대해 배워 재미있었다”며, ... ...
이전4214224234244254264274284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