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난소에 있는 지지 세포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그 결과, 원시 생식세포는 11일 뒤 성숙한 난자가 됐다. 연구팀은 이 난자를 다른 수컷 쥐의 정자와 인공수정 해 대리모 쥐에 착상시켰고, 그 결과 생식 능력을 가진 새끼 쥐 11마리가 태어났다. 하야시 박사는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라 기술적인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교수는 효모에 일부러 돌연변이를 일으켜 오토파지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효모를 만든 뒤 관찰해, 자가소포체 안에 세포 구성요소나 소기관들이 분해되지 못하고 쌓여 있는 것을 확인했다.1992년 오스미 교수는 효모에서 오토파지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학계에 보고했다. 이듬해에는 같은 방법으로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 방식이다.SEP 엔진의 추진제는 비활성 기체인 제논(Xe) 가스다. 제논 가스를 이온화시킨 뒤 전기장을 걸어 가속시킨다. 시속 수십만 km로 뿜어져 나가는 제논 이온의 추진력으로 우주선이 움직이는 원리다. SEP 엔진의 가장 큰 장점은 액체연료 로켓에 비해 연료를 10분의 1도 사용하지 않는다는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해밀턴은 책상에 앉아서 그 당시 나온 대중과학잡지 ‘뉴 사이언티스트’를 뒤늦게 펼쳤다. 메이나드 스미스가 쓴 ‘사회생물학’ 서평이 실려 있었다. 십여 년 전, 해밀턴이 세운 이론에 멋대로 ‘혈연 선택’이라는 잘못된 이름을 붙인 바로 그 사람이었다. 서평에서 메이나드 스미스는 이타성의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상태 등을 감지한다.온 몸에 퍼져 있는 기계적인 감각을 통해 눈앞에 있는 물체를 본 뒤 눈을 가리고 그 물체를 잡는다거나, 컵에 든 우유를 마실 때 손에 힘은 얼마만큼 줘야 하는지, 입까지 가져오려면 어느 정도의 속도로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누구나 다 지니고 있으며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기술을 출자해 ‘메가펨’이라는 기술출자기업을 설립하고, 연구소기업으로 등록한 뒤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후각융합연구센터를 설립해 후각신경계를 이용한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 ...
- Part 3. 발암물질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소변에 들어 있는 ‘NNAL’이에요. NNAL은 담배 속 발암물질인 NNK가 우리 몸에 들어간 뒤, 간에서 해독 작용을 거치면서 변한 물질이지요.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나쁜 물질의 독성을 줄이고, 이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요. 그런데 NNK는 간이 완전히 해독하지 못할 정도로 독성이 매우 강해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비슷한 문제는 모두 같은 공식으로 쉽게 풀 수 있어요. 또 생물의 특징을 찾은 뒤 비슷한 것끼리 묶어서 분류해 놓은 덕분에 새로운 생물을 발견했을 때 바로 생물의 종류를 알 수 있지요.결국 컴퓨팅 사고는 어떤 문제든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보세요. 그 또한 즐겁지 않을까요?특집 기사는 구부러진 세상을 다뤘습니다. 문명이 생긴 뒤로 곧게 쭉쭉 뻗은 직선이 많이 생겼지요. 그런데 알고 보니 직선도 곡선의 일부였습니다. 세상은 결국 곡선으로 이뤄져 있었던 거지요.그렇게 파고들어가다 보니 재미있는 사실이 많이 보입니다. 삼각형은 ... ...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직인 방향으로 붙였던 겁니다. 그래서 엑스선 영상에 나타난 선이 물감의 틈인지 화판 뒤에 붙은 나무 조각의 결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진거죠. 도브시 교수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만들어 이 둘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이 새로운 방법은 앞으로 더욱 정교한 복원 작업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 ...
이전4284294304314324334344354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