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대칭 도형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멈춥니다.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 ‘학습하기’ 코너에서 ‘오픈 강의’를 클릭한 뒤 검색창에 ‘수학동아 11월호’를 검색해 보세요! 그러면 대칭 프로그램을 조금 더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요. 화면 구성과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변수가 기본으로 저장돼 있어 블록을 이용해 알고리즘만 ... ...
- [소프트웨어] 스피드 레이서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벗어나지요.반대로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으면 갑자기 앞바퀴에 힘이 쏠리면서 뒤쪽 타이어가 미끄러지게 돼요. 이러면 의도보다 차량이 더 많이 꺾이고, 심하면 180° 회전한답니다.니드 포 스피드는 이런 자동차의 원리를 그대로 반영한 게임이에요.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이런 원리를 알고 코너를 ... ...
- [수학동아클리닉] 별이 숨어있는 도형, 스타돔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각 모서리를 n등분(n은 임의의 자연수)하여 각 면을 n2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눈 뒤, 이 도형을 부풀려 모든 꼭짓점이 도형의 중심에서 같은 거리에 오도록 만든 다면체다. 이것을 ‘n단계 지오데식 구면’이라 한다.정이십면체는 한 꼭짓점에서 5개의 정삼각형이 만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2단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언덕 위에 오르면 대구 시가지를 훤히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시가지를 구경하고 나서 뒤를 돌아보면 제일교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제일교회 입구에 들러 땅바닥을 유심히 살펴보세요. 땅바닥에 굳게 박힌 둥근 바닥돌에는 신기한 그림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보이는 그림은 사실 꽤 많은 정보를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히가시야마 교수와 오사카대 인간과학대 코헤이 아다치 교수는 허리를 굽혀 다리 사이로 뒤를 바라보면 사물이 달라 보이는지 연구해 인식상이라는 독특한 분야를 개척(?)했다. 연구 결과, 실제로 몸의 방향이 바뀌면 사람이 인식하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가 변했다(시각연구, 2006, 46(23), 3961-76)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개막이번에 취항식을 마치면 이사부호는 승무원들이 적응하는 기간을 몇 달간 보낸 뒤 본격적인 탐사에 돌입한다. 활동 무대는 세계의 모든 바다다. 1992년 건조한 온누리호(1370t급) 이후 독자기술로 만든 조사선이 대양으로 나가는 건 이번이 두 번째다.대양조사의 첫 번째 목표는 기후 예측.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 방식이다.SEP 엔진의 추진제는 비활성 기체인 제논(Xe) 가스다. 제논 가스를 이온화시킨 뒤 전기장을 걸어 가속시킨다. 시속 수십만 km로 뿜어져 나가는 제논 이온의 추진력으로 우주선이 움직이는 원리다. SEP 엔진의 가장 큰 장점은 액체연료 로켓에 비해 연료를 10분의 1도 사용하지 않는다는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해밀턴은 책상에 앉아서 그 당시 나온 대중과학잡지 ‘뉴 사이언티스트’를 뒤늦게 펼쳤다. 메이나드 스미스가 쓴 ‘사회생물학’ 서평이 실려 있었다. 십여 년 전, 해밀턴이 세운 이론에 멋대로 ‘혈연 선택’이라는 잘못된 이름을 붙인 바로 그 사람이었다. 서평에서 메이나드 스미스는 이타성의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비행 등을 시험할 예정이다. 드론 배송 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 에어’를 2013년 발표한 뒤 3년 만에 이뤄지는 시험비행이다.취미용 드론에 비해 배송용 드론 서비스 출시가 늦어지는 이유는 대부분 안전과 보안 문제다. 특히 드론해킹이 이슈가 되고 있다. 보통 와이파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상태 등을 감지한다.온 몸에 퍼져 있는 기계적인 감각을 통해 눈앞에 있는 물체를 본 뒤 눈을 가리고 그 물체를 잡는다거나, 컵에 든 우유를 마실 때 손에 힘은 얼마만큼 줘야 하는지, 입까지 가져오려면 어느 정도의 속도로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누구나 다 지니고 있으며 ... ...
이전4284294304314324334344354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