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더 이상 ‘이불킥’은 하지 말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상황이 다 끝난
뒤
에는 멈춰야 한다. 하지만 습관적으로 곱씹기를 하는 사람은 다 끝난
뒤
에도 계속해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결국 멈추지 않는 과한 불안감 때문에 습관적으로 나쁜 기억에 함몰되는 셈이다.곱씹기는 결국 감정과 관계를 망친다곱씹기는 나 스스로를 괴롭힐 뿐만 아니라 다른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비슷한 문제는 모두 같은 공식으로 쉽게 풀 수 있어요. 또 생물의 특징을 찾은
뒤
비슷한 것끼리 묶어서 분류해 놓은 덕분에 새로운 생물을 발견했을 때 바로 생물의 종류를 알 수 있지요.결국 컴퓨팅 사고는 어떤 문제든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개념을 도입해 곡면이 얼마나 굽어 있는지 잴 수 있는 방법을 만들었다. 60년
뒤
리만 기하학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의 기초가 된다.아인슈타인은 사실 리만 기하학에 대해 잘 몰랐다. 대학 동기였던 수학자 그로스만이 아인슈타인에게 리만 기하학 같은 고등 수학을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통신은 물론 공학에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그래서 라마누잔의 업적은 오히려 죽은
뒤
에 더 높게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라마누잔이 발견한 수학적 사실이 블랙홀의 엔트로피 계산과 같은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하디와 라마누잔의 공동 연구결과인 ‘하디-라마누잔 점근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전자기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나노크기의 멤리스터를 ... ...
[과학뉴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점이었다. 그리고 ‘페이스북(240명)’과 ‘링크드인(193명)’, ‘구글플러스(77명)’ 등이
뒤
를 이었다.콜린 교수는 젊은 과학자들이 “대중과 소통하는 측면보다는 동료와 최신 연구 성과 등을 공유하는 데 SNS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면서도 “아직 다수의 기성 과학자들은 SNS를 전혀 사용하지 ... ...
[과학뉴스] 광합성의 적, 해충보다 더위!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큰 차이가 없었다. 도시에 해충이 급증한 탓에 광합성 효율이 떨어진다는 기존 학설을
뒤
엎는 결과다. 하지만 더운 지역에 사는 나무들은 다른 지역에 사는 나무에 비해 탄소 저장량이 크게 줄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에밀리 마인키 연구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지난 1년간 롤리 지역이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혜성처럼 나타나 정수 양자 홀 효과를 이해하는 기본 이론을 제시했다(러플린은 몇 년
뒤
인 1983년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설명하는 기막힌 이론을 제안했고, 이 업적으로 1998년 노벨상을 수상했다).그러나 정수 양자 홀 효과를 가장 완벽하고 우아하게 설명하는 이론은 단연 사울레스의 1982년 논문이다.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드론의 시제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것만으로도 꽤 만족스러운 실험이었다. 몇 년
뒤
마스2020이 화성에 착륙해 새로운 발견에 성공한다면 우리는 아마 이날의 추억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될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 ...
[과학뉴스] 케플러, 외계행성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외계에 있는 지구형 행성을 찾기 위해 만든 우주망원경이에요. 2009년 3월에 우주로 발사됐지요. 이후 지 ... 미국 항공우주국은 외계 행성 탐사를 계속하기 위해 2017년 8월에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
를 잇는 ‘TESS’를 우주로 발사할 예정이랍니다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