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엑스선을 이용한 신원 확인 방법을 개발하는 계기가 됐다).뼈만 남은 유해가 여러 구
뒤
섞인 경우도 DNA 검사를 하기 난감한 상황 중 하나다. 신원 확인을 하려면 먼저 한 명 한 명 개체를 구분해야 하는데 모든 뼈에 대해 DNA 검사를 하자면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 않다. 어른은 206개의 뼈와 32개의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시티다. 언더그라운드 시티는 1962년에 건설된 지하쇼핑센터를 1984년~1992년에 걸쳐 확장한
뒤
2008년 최종 완공한 것이다. 면적이 여의도의 네 배에 달한다(총 면적 12km2). 시청에 건설될 지하도시의 면적은 여의도와 비슷하다.캐나다가 언더그라운드 시티를 건설한 이유는 평균 기온이 영하 10℃에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전에 점토나 화산재, 모래 등이 빠르게 덮여 산소가 차단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뒤
퇴적물이 계속 쌓여 압력과 열을 받아 단단하게 암석화돼야 한다. 이런 조건에서 지하수에 녹아 있는 광물질이 생물체의 조직사이로 침투하거나, 내부 조직은 분해돼 없어지고 빈 공간을 다른 광물질이나 암석이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손목이나 손가락에 연결된 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손이 잘려나간
뒤
에도 잘린 손의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향해 뇌가 ‘동작하라’는 명령(근전기 신호)을 내려 보내기 때문이다. 잘린 손의 운동을 담당하는 운동영역이 뇌에 그대로 남아 있어 가능한 일이다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를 만나지 못했다.센서스 코무니스 대표가 잠적하고 나서 열흘
뒤
나는 정보맨 모임에 나갔다. 그 열흘 사이에 K 의원은 실언을 연거푸 두 번이나 해서 이미지가 크게 구겨졌다.국세청 어느 국장이 사표를 냈다든가, 어느 대기업이 회장 딸에게 주기 위해 미국의 주방도구 업체를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못했다. 그래서 우주는 한치 앞도 볼 수 없는 진흙탕 같은 상태였다.그런데 38만 년
뒤
엄청나게 뜨거웠던 우주가 3000K★(약 2727℃) 정도로 식으면서 입자들이 서로 결합했다. 불투명했던 우주는 입자 수가 줄어들어 맑아졌다. 빛을 막고 있던 장애물이 줄어든 것이다. 방해 요소가 줄어든 빛은 전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생기는 시공간의 잔물결이다.급팽창이 있었던 시기(우주가 탄생한 지 약 10-35초
뒤
부터 10-32초)는 미지의 문에 가려져 있었다. 아직 빛이 우주로 퍼지기 전이라 이를 직접 관측할 수 없었다. 중력파로 지금까지 베일에 싸여 있던, 빛으로는 볼 수 없었던 초기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중력파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낸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실제로 만들수가 없었지요. 그런데 SW선도학교가 된
뒤
에 똑같은 아이디어를 자동차에 적용했어요. 기울기 센서를 가지고 간단하게나마 실제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학생의 창의력이 실현될 기회가 넓어진 겁니다.”세상을 넓게 보다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지자 학생들의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평면 위에 그려진 정삼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해 가운데 정삼각형을 제거한
뒤
, 남아있는 세 개의 정삼각형의 중점을 연결하여 각 정삼각형의 가운데 정삼각형을 제거한다. 이런 과정을 반복해 만들어진 모양을 시어핀스키 삼각형이라 한다. 자기닮음이 특징이다. 시어핀스키 삼각형을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분류하지 않고 관측한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나무 종별로 군락을 이루게 한
뒤
군락 전체의 단풍 현상을 관측한다. 미국의 하버드 삼림’이 대표적이다. 미국 하버드대가 생태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관리하는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우리나라도 단풍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