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전자를 조작한 근육세포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고무링 모양으로 성장시킨 뒤, 3D프린터로 출력한 7mm~2cm 길이의 뼈대 구조에 부착해 로봇을 만들었다. 여기에 빛을 비췄더니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로봇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바시르 교수는 “고무링 모양의 근육세포를 이용해 ... ...
- 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공지능이 기초 단계를 넘어 중간 단계로 넘어갔다는 신호인 셈이다. 이 알싸한 감정 뒤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 과학동아와 함께 답을 찾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Part3. ‘딥러닝’ 넘어야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달아줘야 한다. 컴퓨터가 학습하기 전에 이미지를 보고 ‘하품하는 고양이’, ‘뒤뚱거리는 펭귄’ 등 미리 정답을 입력해둬야, 인공지능이 스스로 생각한 결과와 비교를 해 심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각 데이터의 정답을 일일이 부여하는 것은 매우 지루하며 손이 많이 가는 일이다. 사람이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모양으로 가장 바깥쪽의 반지름이 8.4m이다. 우주에서 오는 빛은 고리 모양 주경에 반사된 뒤, 부경과 삼경을 거쳐 망원경 가운데 설치된 CCD 카메라로 들어간다.LSST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는 것 외에도 다양한 천체를 관측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부계획으로 LSST는 밝기가 변하는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원자핵과 전자를 떼어 놓아야 한다. 그리고 핵과 핵이 잘 부딪치도록 1억℃ 이상 가열한 뒤 가둬놔야 한다. 1억℃로 끓으며 요동치는 플라스마를 감금하고 제어하는 기술은 이 가운데서도 가장 ‘핫(hot)’한 기술이다.관건은 플라스마 감금 시간핵융합 반응의 에너지는 플라스마 입자들이 충돌하며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때 이용하는 거예요. 저희 모두 이렇게 자전거를 타고 집과 학교를 오갑니다. 사진 뒤를 자세히 보시면, 주차장에 세워진 수많은 자전거와 오토바이를 보실 수 있을 거예요.저희는 모두 프놈펜 이외의 지역에서 올라와 있습니다. 다빈만 이모와 같이 살고, 나머지 둘은 친구들과 자취를 합니다.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개의 자궁에 넣어준다. 만약 착상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평균 63일의 임신 기간이 지난 뒤 원본견과 유전자가 100% 동일한 새끼가 태어난다.]뛰어난 명견의 복제견은 ‘후각망울’이 크다현재 복제견은 마약탐지 등에 많이 투입되고 있다. 복제견을 탐지 부문에서 활용하겠다는 발상이 처음 나온 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올챙이 시절 물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은 아가미로 호흡을 하기 때문이에요. 다 자란 뒤 아가미는 퇴화되고 대신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해요. 그래서 물과 땅을 오가며 살 수 있지요. 개구리처럼 물과 땅 양쪽에서 사는 동물을 ‘양서류’라고 해요. 양서류에는 개구리 외에도 도롱뇽, 두꺼비, 맹꽁이 등이 ... ...
- [과학뉴스] 수호신을 위해 적분을 만든 바빌론인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나타난 날짜와 그로부터 60일, 120일 뒤 목성의 속도가 기록돼 있었다. 이를 통해 목성이 앞뒤로 움직이며 태양 주변을 돌았고, 속도는 점점 느려지고 있었음이 확인됐다.목성이 움직인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당시 바빌론 사람들은 X축이 시간, Y축이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그려 사다리꼴의 면적을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바이셉2’라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우주 초기 중력파를 검출했다고 발표했으나, 얼마 뒤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유럽우주국(ESA)은 우주에 인공위성 세 개를 쏘아 올려서 우주 초기 중력파를 검출하려는 ‘e리사(eLISA)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블랙홀 중력파 측정으로 한층 ... ...
이전4634644654664674684694704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