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계속 걸어야 했다. 한 번에 30분간, 혹은 완전히 지칠 때까지. 후삭 교수는 “도마뱀을 뒤에서 밀어 넘어뜨렸을 때 더 이상 스스로 일어나지 못하면 지쳤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훈련은 일주일에 3일씩 총 8주간 이뤄졌고, 날이 갈수록 훈련 강도는 점차 높아졌다. 연구팀은 훈련 결과를 작년 1월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술을 마셨을 때 나타나는 홍조나 빠른 심박동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이야. 그 뒤에 ALDH라는 효소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무독성의 최종 산물(아세트산, 물, 이산화탄소)로 분해해야 비로소 해독 끝.ADH 효소를 잘 만드는 유전자(ADH2-2, ADH3-1)를 가진 사람은 술을 조금만 마셔도 독성 물질인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때문에 나는 목성 크기만큼 그 말이 더 듣기 싫었다.내가 차에 치이고 빚에 몸 팔아 넘긴 뒤에 골프 아저씨랑 합쳐져서 이 민망할 정도로 긴 세월을 보낸 끝에 도달한 이 곳에, 박승휴는 우주 저편에서 온 외계인 안내원의 우아하고 경이로운 초대로 그때 이미 진작 도착해 있었다는 것이다.그러니, ... ...
- [재미] 파이송 작곡 도전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하지만 더 이상 시간이 없다. 나머지 작업을 서둘러 진행해야 했다. 멜로디를 마감한 뒤 쉬지 않고 음원을 만들기 위한 나머지 작업에 매달렸다. 그 결과 2월 14일, 대부분의 작업을 마무리 지었다. 이 곡이 사람들에게 어떻게 들릴지 모르겠다. 취미로 음악을 해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듣게 될 ... ...
- Part 5. 실험동물에게 새 삶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따뜻한 목소리로 괜찮다고 해 주셨어. 그렇게 엄마의 사랑을 받다 보니 집에 온 지 10일 뒤부터는 사람이 다가와도 몸이 떨리지 않았어. 반가우면 꼬리도 힘차게 흔들 수 있었단다.나와 함께 소화제 실험에 참가했던 친구들의 소식도 들려왔어. 소백이는 연구실에서 나왔을 때 몸에 500원 동전만 한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원래 산과 들을 돌아다니며 채집하고 공부하는 걸 좋아했거든요.함께 프로젝트를 한 뒤 달라진 점이 있나요?고민욱 :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원화엔 꿀벌이 잘 찾아오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됐어요. 사람들이 좋아하는 꽃을 꿀벌들은 좋아하지 않았던 거예요.그걸 보고 인간들만 즐거운 ... ...
- [News & Issue] 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fMRI)으로 참가자의 뇌를 촬영한 결과, A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난 뒤에는 전방 섬상 세포군 피질(anterior insular cortex)의 활성도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 부분은 타인에게 공감하는 능력과 관계가 깊다.하인 교수는 “낯선 사람과의 긍정적인 경험이 그 사람이 속한 집단 전체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 ...
- [News & Issue] 핀치새 50년 내 멸종할 수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량 등 서식환경이 나빠진다고 가정하면 30년 더 이른, 50년 뒤에 멸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기생파리에 감염된 둥지를 제거해 기생파리의 번식을 막을 것을 제안했다. 클레이튼 교수는 “감염된 둥지의 40%를 없애면 핀치새의 멸종 시기를 60년 가량 늦출 수 있다”고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작은 동물은 그냥 삼키고, 큰 동물은 독을 주입하거나 몸통으로 조여서 움직임을 제한한 뒤 삼키죠. 통째로 삼켜도 다 소화를 시킬 정도로 내장 또한 유연하고, 소화에 적합한 내분비물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조이는 힘이 굉장히 강력합니다. 그래서 설사 호랑이나 매에게 먼저 물린다고 해도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실제로 지난 2010년 미국의 핵과학자인 스탠퍼드대 지그프리드 해커 박사는 방북한 뒤 “영변 우라늄 농축 시설에는 지름이 짧은 원심분리기 2000여 대가 돌아가고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켐프 교수는 “이제 기술적 장벽이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 핵확산을 막아야 할 때” 라며 “현재로서는 ... ...
이전467468469470471472473474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