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중력파 신호에 대한전자기파 관측 및 물리량 측정 등 후속작업이 빠르게 수행됐다.6개월 뒤인 2011년 3월 14일, 캘리포니아 주 아카디아에서 열린 라이고-버고 연례총회에서 분석결과가 발표됐다. 결과는 진짜 중력파가 아닌 블라인드 테스트 신호였다. 위원회에서 검출 분석소프트웨어를 테스트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며칠 전 후배의 말을 듣고 보니 정말 용의자의 걸음걸이가 좀 이상하다. 약간 뒤뚱뒤뚱 걷는 것 같기도 하고 팔자 걸음인 것 같기도 하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용의자가 국과수에서 차로 이동하는 모습을 촬영해 놨다.후배의 말을 진지하게 들은 이유는 두 달 전에 참여했던 ‘과학수사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완성이 꿈원자력에너지의 또 다른 걱정거리는 핵폐기물 처리다. 원료의 3~5%만 사용한 뒤 나머지 95%의 핵연료는 땅에 묻는다. 하지만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주민이 많기 때문에 핵 폐기장 부지를 마련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에 안 교수는 “일일 방사성 물질 배출량을 따지면 화력발전소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미국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찍은 사진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사진첩을아무리 뒤져도 원하는 사진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왜냐고요? 저는 미국에 가본 적이 한 번도 없거든요. 흑흑.그런데 이게 웬일일까요? 혹시나 해서 사진을 크게 확대해 봤더니 콜로세움과 사람의 픽셀 크기가 달랐어요.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등 연구할 내용이 쏟아져 나왔다.학교 근처 삼거리 두 곳과 사거리 두 곳을 선정한 뒤 신호가 어떻게 바뀌는지, 한 신호에 차량이 몇 대가 지나가는지 등을 7차례에 걸쳐서 조사했어요. 연구를 진행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 중 하나가 8월의 폭염 속에서 통행량 조사를 하는 거였어요. 정신 똑바로 ...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겨우살이’라는 이름이 붙었지요.겨우살이는 보통 초봄에 작은 꽃을 피워요. 꽃이 진 뒤에 그곳에 새들이 찾아와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지요. 새는 겨우살이의 열매를 먹은 뒤, 채 소화하지 못한 씨앗을 나뭇가지 위에 배설해요. 그러면 씨앗은 끈끈한 성분을 내어 나뭇가지에 착 달라붙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올챙이 시절 물에서 살 수 있는 비결은 아가미로 호흡을 하기 때문이에요. 다 자란 뒤 아가미는 퇴화되고 대신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해요. 그래서 물과 땅을 오가며 살 수 있지요. 개구리처럼 물과 땅 양쪽에서 사는 동물을 ‘양서류’라고 해요. 양서류에는 개구리 외에도 도롱뇽, 두꺼비, 맹꽁이 등이 ... ...
- [과학뉴스] 미사일이 아니죠~ 발사체라고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추진로켓(광명성호)을 쏘아 올린 겁니다. 광명성호는 광명성 4호를 지구 밖으로 올린 뒤 공중에서 산산조각 났습니다. 미사일 기술과 로켓 기술에 공통점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로켓 기술을 미사일로 연결시킬 수도 있겠죠. 미 육군의 데이비드 만 사령관도 워싱턴DC에서 열린 세미나에 참석해 ... ...
- [과학뉴스] 수호신을 위해 적분을 만든 바빌론인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나타난 날짜와 그로부터 60일, 120일 뒤 목성의 속도가 기록돼 있었다. 이를 통해 목성이 앞뒤로 움직이며 태양 주변을 돌았고, 속도는 점점 느려지고 있었음이 확인됐다.목성이 움직인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당시 바빌론 사람들은 X축이 시간, Y축이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그려 사다리꼴의 면적을 ...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분석했다. 지카는 아프리카에서 처음 시작돼 아시아에서 일부 유전자 변이를 거친 뒤 중남미로 건너갔다. 따라서 중남미 지카는 아시아 혈통이다. 파올로 교수팀은 지카의 두 혈통 중 아시아 혈통만 대유행을 일으킨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조사 결과 아시아 혈통은 DNA를 번역하는 유전자 일부가 ... ...
이전4644654664674684694704714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