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잔"(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언맨'슈트 입고 외계인과 싸워라과학동아 l2014.06.22
- 수트를 움직이기 위해선 미리 약속해둔 ‘코드’를 떠올리는 방법을 써야 한다. 물 잔을 들고 마시는 쥐를 상상했을 때 다리가 앞으로 전진한다거나, 물구나무를 선 고양이를 상상했을 때 후진한다는 식이다. 특정 생각을 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뇌파를 명령어로 이용하는 것이 주요 원리다. ... ...
- 우주에서 스테이크 먹고 후식으로 커피 한잔과학동아 l2014.06.20
- 전용 커피머신 ‘이스프레소(ISSpresso)’. - LAVAZZA 제공 ●우주 식사 후엔 에스프레소 한 잔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는 ISS에서 인스턴트커피 대신 갓 내린 뜨끈뜨끈한 에스프레소를 맛볼 수 있다. 이탈리아의 유명 커피회사인 라바차는 최근 자국의 우주벤처와 손잡고 ISS용 에스프레소 기계 ... ...
- 커피 한잔의 여유, 당뇨병 예방과학동아 l2014.04.27
- 또 하루에 커피를 한 잔 더 마실수록 제2형 당뇨 발병율은 11% 낮아지고, 반대로 한 잔 덜 마시면 제2형 당뇨가 발병할 확률은 1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카페인 커피를 마시는 경우에는 커피를 마시는 양에 따라 당뇨에 걸릴 확률이 변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의학 학술지 ... ...
- 온 몸이 삼겹살, 신품종 돼지 개발과학동아 l2014.04.21
- 일 끝나고 소주 한 잔 ‘똑’! 여기에는 지글지글 익는 돼지고기가 제격이다. 이렇게 구워먹을 수 있는 부위는 삼겹살, 목심, 갈비 정도. 고기의 근육 내 지방량이 7% 정도는 돼야 구웠을 때 맛있다. 하지만 이런 부위는 돼지 전체의 약 35% 정도밖에 안 된다. 하지만 몸 전체가 이런 돼지도 ...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14.04.14
- 왠지 싱겁다고 할까. 향이 풍부하고 맛도 강렬한 동아프리카 원두로 내린 커피라야 한 잔 제대로 마신 것 같다. 그런데 지난 주말을 지나며 이들 동아프리카 나라에 대한 관심이 불꽃처럼 확 달아올랐다. 말라리아가 무서워 아프리카 여행은 생각도 안 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가보는 걸 진지하게 ... ...
- 알콜중독자는 나쁜 기억 못떠올린다고?과학동아 l2014.04.08
- 하루에 소주 세 잔. 같은 양을 마셔도 알코올중독자가 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애주가로 지내는 사람도 있다. 샤리프 타하 미국 유타대 의대 교수팀은 이런 차이가 생기는 원인을 밝혀냈다. 알코올중독은 뇌의 외측고삐핵(lateral habenula)이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다. 외측고삐핵은 ... ...
- 평소 소주 1병 마시면 살찔 가능성 1.6배동아일보 l2014.04.08
- 마시는 사람보다 비만일 가능성이 1.3배로 높았다. 이와 같은 비만 가능성은 주량이 7∼9잔일 경우에는 1.66배로, 10잔 이상일 때는 2.36배로까지 높아졌다. 천성수 삼육대 보건학과 교수는 “술을 마시면 지방이 없어지는 비율이 3분의 1까지 줄고, 식욕이 증가해 살이 찌기 쉽다. 또 우리나라는 술을 ... ...
- “술을 버리고 과학에 취했습니다”과학동아 l2014.04.06
- 과학작가로서 데뷔한 이후 많은 반향을 모으고 있는 인물. 그의 첫 저서 ‘과학 한잔 하실래요?’는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우수과학도서,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권장도서로 선정됐으며 후속편 ‘사이언스 소믈리에’ 역시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 우수과학도서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런 강 ... ...
- “실리콘밸리 성공 제1 요건은 네트워크 쌓기”동아일보 l2014.03.26
- 한국인 그룹 모임까지 다양한 곳을 다니며 네트워크를 쌓는 것”이라며 “특히 맥주 한잔 들고 3시간 이상 돌면서 자기를 홍보하고 설득시키는 ‘스탠드업(stand up) 네트워킹’ 문화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갖춰야 할 것으로는 △자신만의 스토리 △자신감 △적극적인 질문 △유머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03.12
- 꽃을 피우는데 성공했다. 씨앗은 700년 동안 발아하지 않고 생명을 잃지 않은 채 잠을 잔 것이다. 과연 이 씨앗은 어떻게 잠을 잘 수 있었을까. 함안박물관이 700년간 잠들어 있던 아라홍련 씨를 발견한 뒤 일부의 싹을 틔우는 데 성공했다. - 함안박물관 제공 씨앗은 보통 흙 속의 미생물에 의해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