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박사는 음악적 소양이 있는 100명에게 쿨리타가 만든 곡과 사람이 만든 곡을 섞어 들려준 뒤 어느 곡이 쿨리타가 만든 것인지 알아내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오히려 쿨리타의 곡이 사람이 작곡한 것 같다는 평가가 훨씬 많았다. 또 바흐의 곡을 분석해 만든 쿨리타의 곡은 실제 바흐의 곡과 구별이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훨씬 잘 찾을 수 있어요. 그러면 청개구리는 계속 건강한 개체군을 유지하지만, 경쟁에 뒤쳐지는 수원청개구리는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게 되지요.또 다른 가설은 ‘흡수가설’이에요. 흡수가설에서는 개체수도 적고 힘도 약한 수원청개구리가 청개구리 종에 흡수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지요. 그리고 ... ...
- 출간 150주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호기심 많은 소녀 앨리스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기묘한 이야기. 그 속에 말장난과 수수께끼가 뒤섞여있어 전세계 독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 ... 겪는 모험담이었다. 앨리스는 이 이야기를 책으로 만들어 달라고 졸랐고, 캐럴은 3년 뒤 책으로 출간했다. 이것이 바로 다 ... ...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만들었어요. 또 토끼가 다이아몬드를 얻으면 1점씩 점수가 오르고, 토끼가 3점을 얻은 뒤 출구에 도달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설정해 게임을 완성했습니다.2단계부터는 각자 창의력을 발휘해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었어요. 벽을 배열해 미로 같은 길을 만드는 친구도 있고, 거미를 늘려서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쏟아지도록 설계되어 있지요. 그네를 탄 사람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그네를 타면서 앞뒤로 아슬아슬하게 쏟아지는 물줄기를 볼 수 있답니다.솜 대신 기계가 들어 있는 ‘체형교정용 공학베개’도 전시되어 있어요. 베개 옆에 있는 둥근 손잡이를 돌리면 기어와 톱니바퀴, 크랭크 같은 84개의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는 1과 -1, 달랑 두 수하고만 관련이 있다. 1과 -1을 골고루 잘 섞은 뒤 길게 늘어놓은 수열이 있다고 하자. 임의의 수 n을 고른 다음 n의 배수번째에 있는 수만을 골라낸다. 이렇게 만든 부분 수열에 1과 -1이 골고루 섞여 있게 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다. 즉 부분수열의 합(부분합)과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는 대장균에 거미의 유전자를 결합시켰다. 그 다음 대장균이 만들어낸 단백질을 얼린 뒤 건조시키고, 이를 알코올이 섞인 물에 통과시켜 실처럼 가느다란 모양의 인공거미줄을 만들었다. 샤이벨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거미줄은 실제 거미줄과 마찬가지로 같은 무게인 강철보다 강도가 20배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도로까지 자세히 볼 수 있어요.각도만 재도 거리를 알 수 있어요!박물관 내부를 돌아본 뒤 야외전시장으로 나오면 삼각측량을 체험해 볼 수 있어요. 직접 거리를 재기 어려운 광대한 지역이나 굴곡이 있는 산과 같은 곳에서 거리를 잴 때 쓰는 방법이에요. 산 정상 부근에서 볼 수 있는 삼각점들로 ...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형태다. 따라서 이 네 수를 가지고 계산을 하면 42를 구할 수 있다. 2, 5, 7을 모두 더한 뒤 3을 곱하면 된다. 에서는 태어난 날이 같은 붉은 여왕과 흰 여왕이 살아온 날의 합에서 42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를 알아내기가 만만치 않다. 부터 꼼꼼히 ...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만들었다. 연구팀은 각각의 사진을 운전, 요리, TV 시청, 업무 등 19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뒤 컴퓨터에 ‘딥러닝’시켰다. 딥러닝 기술은 많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구분하는 정보처리 방식으로 시각 분야 인공지능을 구현할 때 주로 적용한다. 대니엘 카스토 박사과정 연구원은 ... ...
이전487488489490491492493494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