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수 있는 일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정용권 석탄이나 석유 같은 전통에너지가 앞으로 40년 뒤면 다 떨어질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던데, 실제로 그런가요?정은혜 제가 1998년에 대학에 입학했는데, 그 때 전통에너지 자원이 20년 남았다고 했어요. 그리고 15년이 지난 2013년에 제가 학교에 부임했을 때도 20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깔아 꾹 눌러 두면 식물이 곱게 말라요. 다 마른 식물을 단단한 종이에 잘 펴서 붙인 뒤, 학명과 채집자의 이름을 쓰면 표본 완성!대원들은 줄기에서 즙이 나오는 애기똥풀로 팀명을 쓰고, 애기똥풀과 서양민들레 씨앗을 확대경으로 관찰하는 미션도 수행했어요. 온몸에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엉겅퀴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는 대장균에 거미의 유전자를 결합시켰다. 그 다음 대장균이 만들어낸 단백질을 얼린 뒤 건조시키고, 이를 알코올이 섞인 물에 통과시켜 실처럼 가느다란 모양의 인공거미줄을 만들었다. 샤이벨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거미줄은 실제 거미줄과 마찬가지로 같은 무게인 강철보다 강도가 20배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훨씬 잘 찾을 수 있어요. 그러면 청개구리는 계속 건강한 개체군을 유지하지만, 경쟁에 뒤쳐지는 수원청개구리는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게 되지요.또 다른 가설은 ‘흡수가설’이에요. 흡수가설에서는 개체수도 적고 힘도 약한 수원청개구리가 청개구리 종에 흡수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지요. 그리고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도로까지 자세히 볼 수 있어요.각도만 재도 거리를 알 수 있어요!박물관 내부를 돌아본 뒤 야외전시장으로 나오면 삼각측량을 체험해 볼 수 있어요. 직접 거리를 재기 어려운 광대한 지역이나 굴곡이 있는 산과 같은 곳에서 거리를 잴 때 쓰는 방법이에요. 산 정상 부근에서 볼 수 있는 삼각점들로 ... ...
- 출간 150주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수께끼로 다시보기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호기심 많은 소녀 앨리스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기묘한 이야기. 그 속에 말장난과 수수께끼가 뒤섞여있어 전세계 독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 ... 겪는 모험담이었다. 앨리스는 이 이야기를 책으로 만들어 달라고 졸랐고, 캐럴은 3년 뒤 책으로 출간했다. 이것이 바로 다 ...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형태다. 따라서 이 네 수를 가지고 계산을 하면 42를 구할 수 있다. 2, 5, 7을 모두 더한 뒤 3을 곱하면 된다. 에서는 태어난 날이 같은 붉은 여왕과 흰 여왕이 살아온 날의 합에서 42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를 알아내기가 만만치 않다. 부터 꼼꼼히 ...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해내는지 이해할 수 있겠지요?드론을 안전하게 날리기 위해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해 배운 뒤 독자탐방은 마무리됐습니다. 많은 독자들이 드론 천국에 온 듯 이곳을 떠나지 않았어요. 수료증을 받은 김하은 독자는 “드론을 오늘 처음 만져 봐서 어색했지만 2시간이 정말 빨리 지나갔어요”라며 다음에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좋아했다. 그러다보니 우리 조상이 만든 로켓인 ‘신기전’에 관심을 갖게 됐고, 그 뒤엔 조선시대 화포를 조사했다. 거북선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도 거북선에 실린 화포 때문이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아직도 조선시대의 뛰어난 대포를 완벽하게 복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맛있는 음식이 눈 앞에 있으면 열량 섭취가 많아져도 더 먹고자 한다. 식사를 마친 뒤에 달콤한 케이크 같은 후식을 더 먹을 수 있다. 이는 생리학적인 이유라기보다 다분히 심리적인 이유(탐식)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모든 재앙이 시작됐다.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그런데 많이 ... ...
이전4884894904914924934944954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