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수 있는 일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정용권 석탄이나 석유 같은 전통에너지가 앞으로 40년 뒤면 다 떨어질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던데, 실제로 그런가요?정은혜 제가 1998년에 대학에 입학했는데, 그 때 전통에너지 자원이 20년 남았다고 했어요. 그리고 15년이 지난 2013년에 제가 학교에 부임했을 때도 20 ... ...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좋아했다. 그러다보니 우리 조상이 만든 로켓인 ‘신기전’에 관심을 갖게 됐고, 그 뒤엔 조선시대 화포를 조사했다. 거북선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도 거북선에 실린 화포 때문이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아직도 조선시대의 뛰어난 대포를 완벽하게 복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약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내렸다. 이 혜성은 조선시대에 아홉 번째로 나타난 혜성이었는데, 약 한 달 동안 지속된 뒤 1450년 초에 하늘에서 사라졌다. 주목할 점은 이순지와 김담이 이 혜성을 관측한 이후부터 혜성 관측 기록이 이전보다 풍부해졌다는 점이다. 그때까지 혜성 출현을 확인한 것은 총 8번이었고, 1회에서 최대 6회 ... ...
-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 mega [형용사] (주로 명사 앞에 씀) 엄청나게 큰[인상적인]eater [명사] (보통 형용사나 명사 뒤에 쓰여) …을[…하게] 먹는 사람[동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Part 3. 몸은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맛있는 음식이 눈 앞에 있으면 열량 섭취가 많아져도 더 먹고자 한다. 식사를 마친 뒤에 달콤한 케이크 같은 후식을 더 먹을 수 있다. 이는 생리학적인 이유라기보다 다분히 심리적인 이유(탐식)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모든 재앙이 시작됐다. 많이 먹을 몸이 아니다…그런데 많이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기사가 의미심장하다. 4회에 걸쳐 ‘상대론의 물리학적 원리’라는 해설기사가 나온 뒤, 다시 3회에 걸쳐 ‘아인스타인(아인슈타인)은 누구인가’라는 제목의 기사가 나왔다.이 글을 기고한 사람은 베를린에 있는 황진남(黃鎭南)이었다. 함경도 함흥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 하와이에 들어와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빌려 사용했다. 그는 캐나다 서드버리 지역에 위치한 1.5km 깊이의 탄광을 개조한 뒤, 투명한 대형 아크릴 원통에 약 1000t의 중수를 채워 서드버리중성미자관측소(SNO)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곳에서 1999년부터 태양 중성미자 문제를 해결하는 실험을 했다.카미오칸데나 수퍼카미오칸데 실험에서는 태양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른 효과가 있다. 실제로 대회 이후에도 꾸준히 연락하면서 5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뒤에도 친구로 지내는 학생들도 있다. IJSO에서의 경험이 자신의 세계관 형성에 큰 도움이 됐다는 e메일을 보내오는 학생도 있다.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도전하기를 바란다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깔아 꾹 눌러 두면 식물이 곱게 말라요. 다 마른 식물을 단단한 종이에 잘 펴서 붙인 뒤, 학명과 채집자의 이름을 쓰면 표본 완성!대원들은 줄기에서 즙이 나오는 애기똥풀로 팀명을 쓰고, 애기똥풀과 서양민들레 씨앗을 확대경으로 관찰하는 미션도 수행했어요. 온몸에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엉겅퀴 ... ...
- 프랑스 보석 관리인 ‘ 다이아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어지고 있었다. 발자국을 따라가자 그곳엔 잃어버린 물방울 다이아몬드 반지 세 개가 뒤엉켜 있었다. 그리고 범인이 붙여 놓은 듯한 쪽지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적혀 있었다.‘이 반지 세 개 중 하나만 끊어서 반지를 분리해라. 그래야 반지 피해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단 기회는 단 한 번뿐. 이를 ... ...
이전4894904914924934944954964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