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02
잡아당기기 시작한다고 예측했다.그 결과 멀어지던 유럽대륙과 아메리카대륙은 10억 년
뒤
합쳐지기 시작해 경계를 따라 히말라야 같은 거대한 산맥을 만들면서 초대륙이 생기고 남극대륙은 점차 북쪽으로 움직여 ‘얼음모자’를 벗고 초대륙에 합류한다.스코티즈 교수는 인도양이 초대륙의 중심에 ... ...
욕 속에 독 있다?!
과학동아
l
200802
욕쟁이로 삶을 마칠 운명이었을까. 보들레르는 사고로 대뇌의 왼쪽 반구에 손상을 입은
뒤
부터 욕을 내뱉기 시작했다. 디에구즈 박사는 “욕은 후천적으로 학습된다고 알려졌지만, 굳이 학습을 하지 않아도 뇌의 특정 부분에 이상이 생기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욕 내뱉는 투렛 환자의 ... ...
인간광우병 공포 누그러뜨린 프리온 발견
과학동아
l
200802
만들어버린다는 것. 드라큘라에 물린 사람 역시 드라큘라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그
뒤
단백질의 입체구조가 바뀌면서 서로 뭉쳐 결국 뇌세포를 파괴해 생기는 질병들이 속속 보고되기 시작했다. 아밀로이드 단백질로 인한 알츠하이머병, 시누클레인 단백질의 파킨슨병, 헌팅틴 단백질이 관여하는 ... ...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02
정헌수(03학번) 양은 드라마를 보며 로봇에 대한 꿈을 키웠다. KAIST에 입학한
뒤
망설임 없이 MR에 가입했고 1학년 때 기업의 투자를 받아 리모컨으로 움직이는 RC카를 직접 만든 일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MR는 원래 전자공학과에 속해 있었지만 2000년부터는 학과에 관계없이 신입부원을 모집하고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02
라이너스지 내가 아니었다. 간단히 안부만 전하고 나오려다가 라이너스가 연을 부를 때
뒤
에서 코러스를 돕기로 했다.그런데 노래가 끝나자 보컬 최광수 씨가 갑자기 나를 무대로 불러 소개했고, 라이너스와 나는 내가 만든 곡인 ‘우리들의 축제’를 함께 불렀다. 연습이나 예고 없이 이뤄진 ... ...
안개 속에 감춰진 공포의 진실 미스트
과학동아
l
200802
최대한 먼 곳으로 달아난다. 하지만 그들이 안개 속에서 목격한 것은 거미줄로
뒤
덮인 참혹한 죽음의 현장이었다. 얼마 못 가 차의 휘발유가 떨어지고 이들은 꼼짝달싹 못하는 상황으로 내몰린다. 생존자는 모두 다섯명. 권총에는 딱 네발의 총알이 남았다. 안개 속에서 괴물의 움직임을 느끼고 ... ...
신의 눈 피라미드부터 크롭 서클까지 미스터리의 장(場)
과학동아
l
200802
뒤
집힌 경우가 많다. 중생대에 쇠망치가 있었다?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사도 미래에
뒤
바뀔 수 있지 않을까? 그 가능성을 제시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인류가 지구에 등장하기 전에 생긴 지층에서 인류의 것으로 보이는 유물이 발견됐다고 주장한다. 이를 ‘오파츠’(OOPARTS, Out of Place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웃는 얼굴을 찾아 내는 방법도 의외로 간단해. 우선 얼굴 인식기능으로 얼굴을 찾아 낸
뒤
눈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얼굴의 변화를 감지하는 거야. 일반적으로 사람이 웃으면 눈은 작아지고 입은 커지며 뺨이 올라가게 되지. 카메라가 인식한 얼굴에서 이런 변화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 ...
우주인과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머물며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수행할 우주 과학실험 훈련을 받기 위해서죠. 그
뒤
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러시아에서 우주로 가기 위한 마지막 훈련을 받을 예정이랍니다.잠깐! 그러면 이번이 우리나라에서 우주인을 만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란 말이잖아요? 이런 기회를 놓칠 수 없죠 ... ...
죽은 쥐 심장 되살렸다
과학동아
l
200802
이식하는 것보다 자신의 세포를 병든 심장에 이식하는 것이 부작용이 적다”며 “10년
뒤
면 쥐 심장 재생 기술이 인간에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