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01
쉽기 때문이다.따라서 촬영모드를 완전수동모드(M)나 노출시간 우선모드(S)으로 바꾼
뒤
노출시간을 1초 이내로 짧게 조절한다.이때 달이 어떤 모양인지 고려해 노출시간을 세밀하게 조정하면 달의 지형을 더욱 생생하게 찍을 수 있다. 달은 모양에 따라 밝기 차이가 매우 크다. 반달일 때는 밝기가 -9.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01
보고 곧바로 수원 화성을 등록시켰다는 일화도 있다. 화성성역의궤도 그로부터 10년
뒤
인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화성성역의궤에는 드라마 이산에 등장하는 도화서의 그림도 수록됐다. 도화서는 궁중 행사를 그림으로 그려 기록으로 남기는 기구였는데, 정조는 국가 행사를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01
따른다. 그는 1995년 이미 리포솜으로 만든 인공세포막 안에서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한
뒤
꾸준히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합성생물학은 2004년에 미국 MIT가 발행하는 과학저널 ‘테크놀로지 리뷰’(Technology Review)에서 세상을 바꿀 10대 기술 중 하나로 선정할 만큼 기대가 큰 분야다. 유럽연합(EU)은 2005년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01
성질을 연구한 결과 실제 세포막과 매우 비슷한 성질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뒤
인공적으로 만든 리포솜 안에서 다양한 생명현상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1995년 스위스 폴리머 연구소의 피어 루이지 박사팀은 세계 최초로 리포솜 안에서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하며 인공 세포막의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1
고추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인 엔돌핀을 만든다. 그 결과 통증이 클수록
뒤
에 느끼는 쾌감도 증가한다. 한편 캅사이신을 많이 접하면 TRPV1 채널이 지속적으로 열리면서 세포 안에 칼슘 이온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와 결국 세포가 죽는다. 즉 입안의 TRPV1 분포 밀도가 떨어지는 셈이다. 그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01
먹을 김치를 샀다. 손에 김치 냄새가 밸세라 재빨리 냉장고에 김치를 넣었다. 며칠
뒤
면 톡 쏘면서 시원한 맛의 김치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 때마침 요구르트 한 병이 눈에 들어왔다. 최근 속이 안 좋았던 그는 요구르트를 한모금 마셨다.한때 광고에서 유행한 ‘이영애의 하루’를 패러디했다.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01
얻게 되는데, 병을 직접 치료하지는 않아도 치유를 돕는다는 의미가 숨어있다. 2년
뒤
의대에 입학한 아담스는 의사 면허를 따기 전부터 무료진료소를 운영하는 등 자신만의 인술을 펼치기 시작한다. 그러나 규율과 전통을 중시하는 의대 학장은 사사건건 훼방을 놓으며 아담스를 퇴학시키려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01
뒤
합성에 성공했다.장 교수가 발견한 새로운 개념의 초전도물질도 이론적으로 개발된
뒤
합성됐다. 초전도물질은 온도를 낮추면 저항이 0이 돼 전기 에너지 손실이 없고, 전류가 많이 흐르면 강한 자기장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장 교수가 발견한 초전도물질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실리콘이다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01
무장한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특강’ ... ...
번쩍번쩍 형광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1
피부세포에서 붉은 형광빛이 나도록 유전자를 조작했어요. 이 세포로 수정란을 만든
뒤
(체세포 복제),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켜 새끼고양이로 자라게 했지요.고양이는 친근한 애완동물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비슷한 유전병을 갖고 있어요. 그래서 이번 연구가 인간의 유전병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